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철학

푸르르름
푸르르름

성리학에서는 실천 부분은 중시되지 않았나요?

율곡과 이황 토론 등 유명한 학자들은 있으나


실생활에 관련된 것과는 거리가 먼 것 같은데


성리학에는 실용적인 부분은 존재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은 백성들에게 일정한 윤리와 예절 규범의 확실한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조선 왕조가 발전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깊이 있는 동양 학문이 발전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은 우주와 사물 인간의 본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이론적 탐구를 바탕으로 도덕적 실천을 강조한 학문이었습니다. 거경궁리론을 주장했는데 거경은 존양성찰로 타고난 본성을 확충하는 것과 궁리는 격물치지로 사물에 나아가 앎에 이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실제생활에는 그다지 도움이 안되어 탁상공론 또는 공리공론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은 성명과 이기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실천 부분은 그 중요한 측면 중 하나입니다. 성리학은 주로 도덕적 실천에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사회적 인간 관계와 개인의 수양을 중심으로 그 사상을 발전시켰습니다. 성리학은 격물치지(格物致知)의 공부론을 제시하며, 사사물물(事事物物)에 깃들어 있는 이치(理)를 궁구하여 인간의 앎을 확장하도록 권고합니다. 이것으로 보편 타당한 법칙을 익히고 본성을 발휘하는 것을 주장하며 마음과 기, 이의 통합적 구도를 제시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게 문제였습니다. 도덕적 윤리적으로

      매우 좋은 이론이고 학문이고 서로 협동해서

      사이좋게 지낼수 있도로 논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겉만 번지르했지 실제 생활과는

      거리가 먼 학문 이었습니다. 실제 백성들에게

      도움이 되는 학문이 발전을 해야 하는데 오늘날의

      윤리교육만 주구장창 하는 꼴이었습니다.

      조선의 실학 과학은 정체되고 이념논쟁만

      가중되어 결국 조선이 명분싸움에 세계화의

      흐름에 따라가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