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인출권이라는 권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imf에서 경제가 어려운나라에 특별인출권이라는 정책을 운영한다고 하던데 특별인출권이 어떤걸 의미하는 정책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IMF(국제통화기금, 총재 :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로부터 긴급하게 달러 유동성을 인출할 수 있는 일종의 권리이며, 따라서 SDR = 사실상 달러라고 봐도 무방한 부분입니다. 그래서 이 SDR을 가리켜 '종이 금(페이퍼 골드)'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특별인출권이란 188개의 IMF 회원국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담보없이 인출 할 수 있는 가상의 국제준비통화로서 기존 국제준비통화로 사용되던 달러화와 금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1969년 도입된 보조적 준비자산을 말합니다. SDR은 1969년 도입 이후 1974년 세계 무역 비중이 1% 이상인 상위 16개국 통화와 연계해 산출하는 바스켓 방식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구성통화가 많아 계산이 복잡하고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1981년 구성통화를 미국 달러, 일본 엔, 독일 마르크, 영국 파운드, 프랑스 프랑화로 축소하였으며, 현재에는 마르크와 프랑이 유로화에 흡수되면서달러, 유로, 엔, 파운드 4가지 체제로 유지했습니다. SDR 도입 당시인 1970년에는 달러와 동일한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1 SDR을 금 0.88671g으로 설정하였으나, 달러화의 평가절하 등으로 현재 1.38달러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국의 중앙은행이 보유한 SDR 발행잔액은 총 2,800억 달러로 이는 전 세계 외환보유액 11조 4,000억 달러의 2.4%에 달하고 회원국들은 출자 비율에 따라 SDR을 배분받으며, 보유한 SDR 규모내에서 구성통화에 속한 달러, 유로, 파운드, 엔 등 4개 통화 중 하나로 즉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외환위기를 겪는 국가는 SDR을 양도하고 기축통화인 달러 등을 조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IMF는 SDR 바스켓 구성과 그 비율을 5년마다 논의를 거쳐 재 조정합니다. 지난 2010년에는 SDR 통화별 가중치를 달러 41.9%, 유로37.4%, 파운드 11.3%, 엔 9.3% 등으로 조정하고 위안화 SDR 편입을 부결시킨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