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담임선생님 무섭다고 유치원 가기 싫어합니다.
아이가 담임선생님 무섭다고 유치원 가기 싫어합니다.물어보니 때리지는 않았다고 합니다.담임한테 조심스럽게 말씀드렸더니 기분안좋아하더라고요.걱정이 되는데 어떻게 해야할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유치원 선생님의 경우 여러 아이들을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아이의 성격과 성향에 따라 무섭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담임선생님이 어느때 무서운지 아이의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보시고 마음을 위로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담임 선생님한테 말씀드렸는데 기분 안좋아 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좀 안돼는 상황입니다. 보통은 아이가 담임선생님 무섭워 유치원 가기 싫다고 하면 아이가 무서움을 느끼지 않도록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따뜻한 말을 하는 등 대처를 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유치원 담임선생님께 말했으니 아이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유치원 보내시고 계속 담임선생님이 무섭다고 한다면 아이와 맞지 않기 때문에 유치원을 옮기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담임 선생님이 무서워서 유치원에 가기 싫다 라고 하는 이유는
첫째, 자신의 잘못이 있었고 그 잘못으로 인해서 선생님께 꾸지람을 들어서 입니다.
둘째, 다른 친구가 선생님께 혼이 나는 모습을 보았고, 친구를 혼내는 선생님의 모습이 무서워서 입니다.
먼저, 아이에게 선생님이 왜 싫은지 그 이유를 정확히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히 선생님이 무서워서 유치원에 가기 싫다 라고 한다면
아이에게 유치원에 가야하는 이유가 왜 인지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잘 설명을 해주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선생님이 무서워서 유치원에 가기 싫다 라고 해서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하였는데
담임 선생님도 기분이 안 좋아하는 부분이 컸고, 아이는 유치원에 가기 싫어하는 부분이 크다 라면
원을 바꿔보는 것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겠지만
제 개인적 의견은 아이의 기질이 문제 이거나 선생님의 교육방침이 문제 일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의 기질적 부분은 소심하고 소극적이고 내성적이고 내향적 이라면 상대가 강하게 말을 하고,
큰 소리를 내게 되면 주눅이 들고, 이 사람은 나를 싫어해서 그러는 거야 라고 오해를 하는 부분이 커서
그 사람을 멀리 하려는 경향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아이의 기질을 잘 살펴보고, 아이의 기질의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문제적 상황에서 적절하게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전달하고 그 상황에 알맞는 행동.언어,제스처를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선생님의 교육방침이 너무 확고하면 이를 바꾸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즉, 모든 아이들이 자신의 교육방침에 따라 행동지도가 다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이의 기질에 맞게 적절한
행동지도를 해주는 부분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가 담임선생님이 무서워서 유치원에 가기 싫다고 할 때의 대처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무섭다는 표현은 꼭 폭력적인 행동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큰 목소리, 엄격한 표정, 반복적인 지시 등도 아이에게는 위협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아이를 위한 현실적인 대응 방법은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주고, 유치원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만들어줍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이나 친구와의 시간을 강조해서 유치원에 대한 인식을 조금씩 바꿔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마다 성향이 있어 어린이집 다닐때 에는 괜찮았는데 유치원 가서 아이가 힘들어 한다고 이야기
하는 경우가 있어요
하지만 선생님 마다 아이에게 대하는 교육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아이와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많은 아이들을 교육 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아이들에게 맞추어 교육 하기가 어렵습니다
초등 학교 입학 해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린이집에 다닐 때에는 교육 보다는 보육에 집중을 하기 때문에 유치원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유치원에 다니고 있기 때문에 유치원에 적응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 됩니다
8월이면 유치원에 다닌지가 몇달 지났는데 아직도 선생님이 무섭다고 한다면 다른 유치원으로
옮기 거나 하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옮겨도 같은 현상이 일어 날 것 같아요
아이가 내성적이거나 예민한 아이라고도 보여 집니다
많이 걱정 되면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도 고려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무섭다'고 느끼는 건 실제 체벌이 없어도 말투, 표정, 분위기 떄문일수 있습니다. 우선 아이 감정을 충분히 공감해주고, 원에 가야 하는 이유를 부드럽게 설명해 주세요. 교사에게는 비난보다 '아이가 아직 낯설어 힘들어하니 따뜻하게 다가가 주시면 감사하겠다'는 식으로 요청하면 부담을 줄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선생님을 무서워한다고 말할 때에는 우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랬구나, 무서웠구나와 같이 공감하면서 안심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부분이 무서웠는지 차분하게 들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선생님께는 아이가 적응 중이라서, 무서움을 느끼는 것 같다고 조심스럽게 공유하면서 가정에서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지, 협력적인 태도로 말씀드리면 선생님도 방어적이지 않게 받아들이실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는 선생님도 악의가 없다는 걸 안내하며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면 도움이 돼요. 선생님과 다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