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금을 매입하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최근 전세계 중앙은행들은 서로 앞다투면서 금을 매입하고 있다고 하는데 한은은 매입을 12년째 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한국은행이 금을 매입하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을 매입하지 않는 경우는 금의 희소성이 강하며, 이러한 한국은해 도 매수에 참여한다면 금값이 안정화 되지 않을 것을 염두에 두고 매매를 하지 않으며, 한국은행의 운영목표와도 맞지 않다고 생각하기 떄문일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은행이 금을 매입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의 유동성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하기 때문에
금매입을 지난 2013년 이후 매입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금을 갖고 있어도 이자가 붙지는 않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을 매입하지 않는 이유로 금 가격 고평가 견해가 우세하다며 '향후 투기적 금 선물 매입 포지션이 청산되면 가격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고 보수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현재 글로벌 금융 흐름에 따라가지 못한 결과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미 우리나라가 보유한 금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것일 수 있는데 이는 최근 금의 흐름으로 본다면
역행하는 판단이라고 보여집니다
전세계가 경쟁적으로 금을 확보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금을 보유만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금보유량이
타국에 비해 밀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금만 제대로 보유하고 있어도 국가 부채를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폭등하고 있기에
한국은행의 선택은 현재까지는 틀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에서 미국 달러 자산의 비중이 높고 금 보유량을 늘리는 것보다 미국 달러와 유동자산을 충분히 공급하고자 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imf 때 외환 보유액이 부족하여 부도난 역사가 있기 때문에 외화공급을 최우선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합니다. 12년 동안 금 가격이 고평가 되었다고 매입을 하지 않는 것이고 주요국 중앙은행들 중에 40위권입니다. 이런 이유라면 한국은행이 향후에도 금을 추가 매입할 가능성은 낮을 듯합니다.
금 가격은 최근 10여년 동안 꾸준히 상승했고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을 매입하지 않는 이유는 외환보유액을 미국 국채나 달러 자산에 투자해 안정성을 확보하려 하기 때문 입니다.
금은 운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한국은행은 100톤 이상의 금을 보유중이라 추가 매입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을 운용하면서 평판 리스크 관리가 중요시하는데 금은 유동성 목적으로 매도하기 쉽지 않은 자산이하 투자 시기 결정이 어렵습니다. 한국은행은 외환보유액의 증가 추이를 고려하고 금 가격이 고평가라는 경해가 있으며 가격 하락의 우려로 미온적인 투자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