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보유국이 어느정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만 되나요?
핵보유국이란 말 그대로 핵무기를 보유한 나라들을 말하는데요. 그런데 왜 그런 나라들이 핵무기를 가지게 되는 걸까요?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만 핵무기를 가질 수 있는 걸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그리고 핵무기를 가지면 실제로 어떤 장점이 있는지 궁금해요. 국가의 힘이나 안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핵무기를 보유한 나라들이 어떻게 서로 협력하거나 대립하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최초에 핵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은 당시에 기술을 받쳐줄 경제적인 여건이 가능한 국가만
가능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오히려 국가에 주력 산업이 없는 곳들이 핵을 무기로 외교를 하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핵무기는 과거에 선진국들이 개발하여 보유하였는데
그 당시엔 핵개발에 상당한 기술과 자금이 필요하여 경제 규모가 높은 국가가 핵을 보유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핵 보유국에서 다른 나라의 핵무기 보유를 막으려고 하기 때문에 더욱 핵 개발이 어려워진 상황입니다.
일종의 기득권을 가져가려는 수법인데요.
이러한 국가에서는 핵무기를 개발하는 국가에게 경제적 보복을 가하기 때문에
경제 규모가 작은 나라는 어쩔 수 없이 핵무기 개발을 포기해야 합니다.
하지만 북한은 러시아와 중국의 지원을 받기 때문에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핵무기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전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지만
상대 국가를 위협하는 데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핵무기 보유 국가들은 서로 대립하기도 하고 협력하기도 하지만
이들은 핵무기 보유 여부가 아니라 다른 이유로 관계를 맺는 것입니다.
러시아와 중국이 서로 협력하고 있지만 미국과는 관계가 좋지 않은 것처럼
핵무기보다는 정치적, 경제적 이유로 관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핵보유국이 어느 정도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공식적인 국가로는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영국 등이 있고
NPT에 미가입되었으면서 보유한 곳으로는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이 있으며
북한 역시 비공식적으로는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반드시 부유해야만 갖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10개국 정도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핵무기 보유는 단순히 경제력만으로 결정되지 않으며, 국가의 안보 전략, 정치적 의지, 기술력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러시아, 미국, 중국 등 경제 강국들이 주요 핵보유국이지만, 파키스탄과 같은 개발도상국도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핵무기 보유는 국가의 군사력과 국제적 영향력을 크게 증대시키지만, 동시에 큰 책임과 위험도 수반합니다. 핵보유국들은 서로 견제와 협력을 통해 전략적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하며, 핵 비확산 조약 등을 통해 핵무기의 추가 확산을 막으려 합니다. 그러나 핵무기 보유는 여전히 국제 안보와 세계 평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남아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핵보유국이라고 해서 경제적으로 부유한 국가만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해당 기술력을 가진 국가는 많은데 국제적으로 고립되어 있는지, 또는 다른 나라의 눈치를 봐야하는 지 등 다양한 이유로 핵을 보유한 국가가 있습니다. 파키스탄과 북한만 봐도 꼭 부유하지 않더라도 핵무기를 보유할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핵무기를 가지고 있으면 아무래도 군사력 측면에서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