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경건한개미새67
경건한개미새67

10000원이 아닌 9900원처럼 앞단위를 바꿔보이기 위한 가격 책정은 진짜로 효과가 있나요?

홈쇼핑이나 마트 등 물건을 판매할때 가격을 보면 20000원에서 100원 뺀 19900원이나 10000원에서 100원 뺀 9900원 등 앞자리를 바꾸기 위해 저런 식으로 가격을 책정해놓은 걸 흔하게 볼 수 있는데 소비자들도 전부 그러한 일종의 전략이라는 걸 다 알고 있는데도 실제 판매량 증가에 효과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심리적으로 단위가 바뀌게 된다면 수요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마켓팅 회사에서 조사한 결과이기 때문에 믿을만한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끝이 9로 끝나는 가격 책정이 정말 효과가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10,000원 보다는 9,900원이 소비자에게

    더 다가가는 숫자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효과는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고객을 유혹하는 900원 마케팅은 여전히 많은 상점에서 활용하는 방식으로, 누구나 8900원&9000원 / 99900원&100000원을 비교할때 사실상 같은 가격이란 것을 알 수 있지만 심리적으로 더 저렴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심리적 효과가 있습니다.

    제품 구입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요소로 가격인데 앞자리를 바꾸는 마케팅 전략은 해당 제품이 저렴하다는 인식을 줄 수 있습니다.

    2만원 보다 19999원일 경우 1만원대에서 제품을 구입한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2만원보다 저렴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을 노리는게 마케팅 전략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요즘은 기본적인 전략이 되었지만 여전히 유효한 전략입니다

    • 1,000원과 990원은 10원차이 이지만 실제 사람들이 느끼는 차이는 990원이 10원 이상 저렴하게

      느껴집니다

    • 사람은 기계가 아니기 때문에 심리적인 가격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단위를 작아보이게 만드는 전략은 효과가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큰 금액을 쓰는게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것은 사람의 당연한 본성이고 그로 인해서 자릿수가 줄어들어 저렴해 보이는 전략은 소비자에게 지속되어 사용되온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