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23.01.24

체감온도는 어떻게 산출하나요?

체감 온도는 어떻게 산출 하는 것이며, 모든 사람들이 추위를 느끼는 것이 주관적이라고 생각이 됩니다만 어떤 기준으로 온도를 말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4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위나 더위를 느끼는 정도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체감온도는 절대값은 아닙니다. 인체가 느끼는 더위나 추위를 수량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온도, 습도, 풍속, 일사량, 복사 등의 관측된 정보를 기반으로 계산합니다. 체감온도는 여름철(5~9월)과 겨울철(10~익년 4월)을 구분하여 제공합니다.

    기상자료개방포털[기후통계분석:응용기상분석:체감온도] (kma.go.kr)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계산식은 다음과 같은데요

    체감온도(℃) = 13.12+0.6215×T-11.37×V 0.16 +0.3965×V0.16×T
    단, T : 기온(℃), V : 풍속(km/h)

    사이플과 피셀이라는 과학자가 고안해 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우리 피부로 느끼는 온도입니다

    바람이 더 불면 춥다거나 습도가 높을때 더우면 더 더운것응 반영한 것으로 산출식을 이용해 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말 그대로, 우리의 몸이 느끼는 온도를 말하며,

    체감온도는 별도로 측정하는 것이 아닌,

    5월 ~ 9월(여름)에는 습도를,

    10월 ~ 4월(겨울)에는 풍속을 반영하여

    체감온도를 산출하여 활용하게 됩니다.

    다만, 앞에서 언급해 드린 대로, 관측을 방해하는 요소를 최소화하여

    기온과 습도, 풍속 등을 관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참고로, 겨울철에는 바람이 강해질수록

    외부에 있는 사람이나 동물의 노출된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길 때 열 손실률이 더욱 높아져

    내부체온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체감온도의 경우, 기상청 날씨누리 또는 날씨알리미 앱을 통해

    초단기 예보 및 동네예보 시계열로 확인하실 수 있으며,

    특히 10~4월에는 지점별 풍속에 따른 체감온도로 산출한 값이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실제로 사람이 느끼는 온도가 다르지만, 체감온도는 공식으로 정의를 해두었습니다.

    체감온도 = 13.12+0.6215 × (온도) -11.37 x (바람의 속도)^0.16+0.3965 x (바람의 속도)^0.16×(온도)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온도는 습도나 바람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이 있어 위와 같은 공식이 정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