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귀여운대벌래87
귀여운대벌래87

주식에서 배당금을 받는 방법이 어떻게되나요??

주식에 돈을 넣어놓고 일년? 정도있으면 배당금을 준다는데 은행이자보다 많이나오나요?? 손해를 볼수도있는건가요?? 어떤식으로 받을수있는거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 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면 현금이나 주식으로 배당금을 받습니다. 은행 이자보다 높은 경우도 있으나 주가 변동으로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증권사 계좌로 자동입금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어렵지 않습니다 주식을 특정일자에만 보유하고 있으면 배당이 나옵니다

    • 굳이 1년을 들고 있지 않고 단 하루만 보유하고 있어도 배당이 나오게 됩니다.

    • 은행이자 보다 무조건 많진 않고 많은 주식은 고배당 주식에 해당합니다.

    • 손해를 물론 볼 수도 있는데 이는 배당을 받은 뒤에 그만큼 주가가 하락하며 손실이

      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배당금은 회사에서 매년 배당금을 얼마로 할지 정하기에 이자보다 많을수도 적을수도 있습니다.

    다만, 회사가 이전부터 배당해오던 수준에서 크게 달라지는 경우는 잘 없기도 합니다.

    은행보다 높은 배당률의 배당금을 주는 회사는 대체로 통신사, 금융사, 현대차 정도입니다.

    배당은 배당대로 나오는거고 주가는 당연히 빠질 수 있어서 원금의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결산시점에서 기업들이 주주총회를 열고 주주총회 승인안건으로 결정하는 사항입니다. 즉 이때 연간 1번 정하냐 아니면 분기로 정할 수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월배당이 상법상 안됩니다 )

    즉 이는 주주안건으로 이익에서 얼마정도를 배당할지 그리고 몇번 배당할지는 주주가 표안건으로 과반수 통과시 정하는것뿐입니다. 이익없더라도 과거 누적이익잉여금에서 재원이 있다면 배당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배당이 결정되고 이 배당은 주가는 시시각각 변하게 되고 배당은 기본적으로 이익을 재원으로 하기 때문에 이를 예상하여 배당수익률을 과거 사례를 보고 예상이 가능합니다. 보통 배당수익률이 높은것은 5%이상도 많고 간혹 10%도 나오기도 하며 대체적으로 배당주는 은행이자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배당을 받기 위한 권한은 결산 시점 보통 12월 말일이 결산인데 그 이전에 주식을 사서 보유하면 배당을 받을 수 있어서 그 이전에 사서 며칠간 보유해도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주식을 사는것이므로 주가의 가격에 따라서 손실위험이 당연히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금은 1년을 보유하는 것은 아니고,

    배당을 주는 주식을 매수해 배당락일 하루전까지 보유하면 지급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 12월 30일이 배당락일 이라면,

    • 12월 29일까지 해당 주식을 매수해야 주주명부에 이름이 들어가고,

    • 12월 30일부터는 매도해도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이자보다 많은지는 배당주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배당률이 높은 기업은 은행이자보다 높기도 합니다.

    배당금은 손해를 볼 수는 없습니다. -가 없습니다. 다만, 주식을 매수한 것이라 주가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서 배당금을 받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주식 마다 배당에 대한 일정 등이 다양합니다.

    그 스케쥴에 따라서 원하시는 종목을 배당락일 전까지 매수하시고

    기다리시면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수익률은 종목마다 상이하며

    잘못하면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금을 받으려면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주어지는 특정 날짜에 해당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 날짜를 배당 기준일이라고 합니다. 배당 기준일은 주주명부에 이름이 올라가 배당을 받을 권리를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날입니다.

    배당락일은 배당 기준일의 2거래일 전입니다. 배당락일에 주식을 매수하면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지기 때문에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배당금을 받으려면 배당락일 전날(배당기준일 2일 전)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배당금은 보통 배당 기준일 이후 2~3개월 뒤에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12월 말 결산 법인의 경우 3월 주주총회에서 배당금액을 확정하고, 4월 중순에 배당금을 지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종목 중에서 배당을 지급하는 종목을 찾아서 사시면 됩니다. 배당률 및 지급 시기는 기업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전의 시기와 배당률 수준이 어느 정도였는지 찾아보고 본인이 원하는 종목을 배당 기준일 전까지 사서 갖고 있으면 됩니다. 배당락일이 지나면 주식을 파셔도 배당을 추후에 지급받을수 있으니 배당의 기준이 되는 일자까지 들고있는게 중요하다고만 아시면 됩니다. 추후 배당률이 확정되면 배당지급일에 증권 계좌로 배당금이 들어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 종목을 선정할때 배당을 주는 종목을 선택해서 투자하시면 배당금이 나오는데, 종목에 따라서 수익률은 다릅니다. 은행이자 보다 높은 것보다 낮은 경우가 많고, 배당금 자체로는 손해가 아니지만 투자한 종목 가치가 내려가 손해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기준일 즉 배당지급하기로 결정한날에 주주명부에 올라가야 이사회에서 배당을 계획하고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이나면 대략 주총후 1개월 이내에 배당금이 지급됩니다. 일년동안 보유하고 있지않아도 됩니다.배당기준일에만 하루만 보유하고있다가 다음날 팔아도 됩니다.다만 주가가 이미 상승되어있어서 다음날 배당락으로 일시하락하거나 하락추세로 갈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고 재무제표를 잘 확인하여 배당락이후에도 다시 가격이 돌아올수있는 좋은 주식을 잘 선별하시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금을 주는 주식을 구매하면 배당락일 기준에 부합하는 날짜에 배당금을 부여합니다.

    기업이 이윤이 있을 때와 특정 기준을 만족했을 때만 지급하는 것이 배당금이니 배당금을 못받는 경우가 발생하면 딱히 손해를 본다기보다는 추가적인 이득을 보지 못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경우 배당기준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면 배당을 받을 수 있고 배당금의 경우 이자처럼 정해진 금액은 아닙니다. 또한, 주식가격 변동에 따라 원금보다 손해가 발생할 수있으니 주식투자에는 신중한 의사결정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금이라는 게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어떤 회사 주식을 들고 있으면 그 회사가 1년에 한두 번 이익을 나눠주겠다고 할 때 주주명부에 이름이 올라가 있는 사람들한테 현금이나 주식으로 줍니다. 은행 이자처럼 매달 꼬박꼬박 나오는 건 아니고 회사가 결산하고 주총에서 결정을 해야 줘요. 그래서 1년 들고 있었다고 무조건 받는 건 아니고 배당일 기준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금액은 은행 이자보다 많을 수도 있지만 어떤 해에는 아예 안 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주가가 떨어지면 배당 받아도 손해일 수 있죠.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배당주는 사서 1년동안 가지고 있어도 되긴 하지만 연말에 보유자 기준으로 배당금을 주니 연말에 사셔서 내년에 팔아도 배당금은 4월에 나옵니다 은행이자보다 많이주는 기업도 있고 아닌 기업도 있죠

    배당금 받으려고 주식 샀는데 주가가 폭락하면 당연히 손해볼 수 도 있습니다 주식은 원금 보장이 전혀 안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