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심정지 원인 및 성인 된 후 검사. .
안녕하세요, 제가 영아였을 때 엄마 아빠가 제가 집에서 심정지 왔었다고 얘기를 해줬는데 그때 당시 mri도 찍었는데 이상은 없다고 하셨어요.
근데 제가 이제 22살인데 심실조기수축이 스트레스 받을 때 느껴지고 건강염려증도 있어서
한번쯤은 심장이 괜찮은지 검사하러 가도 괜찮겠죠?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심장내과 혹은 순환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면 되겠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영아 심정지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MRI에서 이상이 없다면 구조적인 문제는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심실조기수축은 스트레스나 피로와 관련될 수 있지만,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심장내과 전문의와 상담 후 필요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22세이신 점을 고려했을 때, 현재 느끼시는 증상과 건강염려증으로 인해 불안감이 크시다면 심장 검사를 통해 심장의 상태를 확인하고 심리적인 안정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걱정을 해소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자분의 이야기를 잘 읽어보았습니다. 영아기에 경험한 심정지에 대한 이야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불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습니다. 특히 아직 젊은 나이에 이런 경험에 대해 들으면 가끔 마음이 무거워지기도 하죠.
과거에 MRI 검사 결과 아무 이상이 없다고 들었더라도, 현재 가끔 느끼는 심실 조기 수축과 건강에 대한 걱정이 있다면, 병원에서 한 번 더 확인해보는 것이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느끼고 있는 스트레스 또한 신체적인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니, 전문의와 상의하여 마음의 안정을 찾고 걱정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영아 시기에는 돌연사증후군이 있을 정도로 원인을 알 수 없는 심정지가 발생하는 경우들도 있으며, 영아 때 심정지가 왔다는 정보만으로 그 원인이 무엇이었는지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파악하고 간단하게는 어렵습니다. 각설하고 현재 건강 상태가 우려스럽고 걱정되어서 관련된 정밀 검사를 받아본다고 하여서 문제 될 것은 전혀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