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의연한스라소니153
의연한스라소니15322.03.24

급여문제입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ㅠㅠㅠ

기본급 275만원 식대 10만원으로 계약을 했는데

2월 근무가 이렇습니다.

3월 11일 지급 받은 급여가 2,646,429원 받고 고용보험 21,170 소득세 53,610 지방소득세 5,360을 받았습니다.

2월 초 4시간 근무한건 어떻게 계산하고

2월 중 초과 근무 한건 계산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리고 4대 보험 제하고 급여는 어떻고 4대보험 포함해서는 급여는 어떻게 받아야 정상인가요?

추가로 제가 받을 금액은 얼마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박상빈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말씀해주신 내용만으로는 급여 계산이 어렵습니다.

    근로계약시 월급제로 계약했는지 시급제로 계약했는지, 근로시간은 몇 시간으로 계약했는지, 월 휴무는 몇일로 계약했는지, 월별 일정한 연장근로를 월급여에 포괄정으로 미리 산정에 포함시키기로 했는지 여부, 식대 10만원이 기본급과 별도로 지급되는지, 포함해서 275만원인지, 등등에 관해 알 수 없어 귀하의 급여 계산 질의에 답할 수 없습니다.

    2월 초 4시간 근무한 것은 시급제 근로자라면 '통상임금 시급 * 4시간'으로 계산하며, 월급제 근로자라면 근로계약시 근로시간을 몇 시간으로 하였는지, 기본급과 고정연장근로수당을 얼마로 계약하였는지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초과근무 계산 방법은 '통상임금 시급 * 초과근로시간 * 1.5'입니다.

    4대보험의 경우 국민연금은 기준보수월액의 4.5%, 건강보험은 3.495%,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12.27%, 고용보험료는 0.8%를 공제합니다.

    다만 근로기준법 제48조 제2항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할 때 '임금의 구성항목, 계산방법' 등을 명시한 급여명세서를 발급하여야 하며,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과태료 대상입니다.

    사용자에게 임금이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어떻게 계산된 것인지 문의해보시고, 그러한 내용이 명시된 급여명세서 발급을 요청하세요.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행정사입니다.

    올려주신 파일이 보이지 않아 답변하기 어렵지만 하루 8시간 한주 40시간을 초과하는 연장시간에 대해서는

    5인이상 사업장의 경우 가산수당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이왕이면 파일을 다시한번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재필 노무사입니다.

    제56조(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1) 사용자는 연장근로( 제53조· 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2)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50%

    2.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

    (3) 사용자는 야간근로(22:00 ~ 06:00)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네시간을 초과근무 하였다면 4시간에 대한 연장수당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4대보험의 경우 월급의 8~9%가 납부되기 떄문에 질문자님께문제없이 급여를 받으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노무사입니다.

    1.연장근로 시 통상임금의 50퍼센트가 가산되어야 하며, 연장근로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22시부터 06시 사이에 근무가 이루어지는 경우 통상임금의 50퍼센트가 추가로 가산되어야 합니다.

    2.국민연금요율은 4.5%, 건강보험요율은 3.495%(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요율의 12.27% ), 고용보험요율은 0.9퍼센트입니다. 두루누리 지원을 받는 경우 4대보험료가 경감될 수 있습니다.

    3.소정근로시간에 미달하여 지급한 경우 미달한 이유에 따라 휴업수당이 지급되거나 또는 무급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