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초코파이
초코파이

궤간이 왜 1435가 됐는지 너무 궁금하네요

철도 궤간이 왜 1435가 됐는지 너무 궁금하네요 영국마차 얘기는 듣긴 했습니다만 정확히 무슨 이유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글고 우리나라에도 광궤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늘 호수로 떠난여행
      하늘 호수로 떠난여행

      안녕하세요. 깍듯한참밀드리134입니다.

      궤간이란 선로에서 양레일간의 거리를 뜻합니다. 표준 궤간은 1,435mm이며 궤간의 측정은 레일 두부상면으로부터 아래쪽 16mm(고속철도, 도시철도 14mm) 점에서 상대편 레일 두부의 동일점까지의 내측 간 최단거리를 말합니다.

      표준 궤간이 조지 스티븐슨의 지팡이에 의해서 결정되었다는 신화설이 있는데 건설 인부들이 두 레일의 간격을 어떻게 해야 할지 묻자, 그는 지팡이를 바닥에 떨어뜨리며 “이것을 기준으로 하라.”라고 했으며, 그것이 1435mm 궤간의 결정 요인이라는 설이라고 합니다.

      또다른 하나는 표준 궤간이 로마 제국에서 개선 장군이 타는 전차의 궤간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인데요.

      이들 마차의 궤간은 말 두 마리가 나란히 설 수 있는 넓이인 1435mm로 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로마의 주요 도로 유적에서 확인되는데, 후대에 이 궤간을 보고 답습하여 표준궤가 결정되었다는 설입니다.

    • 안녕하세요. 브로콜LEE입니다.

      영국은 산업혁명 초기에 철도 산업이 발달하였습니다. 초기에는 다양한 궤간 폭이 사용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1435가 가장 널리 사용되었는데 그 이유는 안정성과 경제성면에서 유리했다고 합니다. 궤간 폭이 좁을수록 철도 건설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해지는데 가장 경제성과 안정성이 충족되는 궤간폭이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