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1.29

눈이 오는 날 날씨가 덜 추운 것은 무엇 때문인가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겨울에 기온이 낮을 때도 눈이 오는 날에는 이상하게 날씨가 포근하다고 많이 느꼈었는데 실제로도 날씨가 덜 추웠고요 눈이 오는 날 날씨가 덜 추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녹으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인데요.

    눈이 녹을 때는 1g당 8kcal의 열을 방출합니다. 따라서 눈이 많이 내릴수록 주변의 온도가 올라갑니다. 또한, 눈이 내리면 대기 중의 수증기가 줄어들면서 대기의 밀도가 높아져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체감온도가 더 따뜻하게 느껴집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오는 날 날씨가 덜 추운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승화열 때문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열이 방출되는데, 이를 승화열이라고 합니다. 눈이 내리는 날에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음으로 변하면서 승화열이 발생합니다. 이 승화열은 주변의 공기를 데우는 효과가 있어 날씨가 덜 추워지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구름의 단열효과 때문입니다. 눈이 내리는 날에는 대기 중의 구름이 많아집니다. 구름은 대기의 열을 가두는 단열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눈이 내리는 날에는 지표면의 열이 대기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줍니다. 이로 인해 지표면의 온도가 유지되어 날씨가 덜 추워지는 것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눈이 내리는 날에는 주로 남서쪽이나 서쪽에서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저기압은 고기압보다 기온이 높기 때문에, 눈이 내리는 날에는 기온이 더 높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눈이 내리는 양에 따라 날씨가 덜 추워지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눈이 많이 내리면 승화열이 더 많이 발생하여 날씨가 더 따뜻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눈이 적게 내리면 승화열이 적게 발생하여 날씨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은 열을 높은 비율로 저장할 수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눈이 내릴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증가하면 열을 더 효과적으로 보유합니다. 이는 주변의 온도를 일종의 "보온 효과"로 작용시키며,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눈이 내릴 때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동일한 온도라도 눈이 내릴 때는 건조한 날에 비해 더 따뜻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눈이 오면 따뜻한 느낌이 드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이는 눈이 오는 날 날씨가 덜 추운 이유와 관련이 있습니다. 눈이 오는 날 날씨가 덜 추운 이유는 눈이 지면을 덮고 있기 때문입니다. 눈은 공기를 잡아두고 따뜻한 공기를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눈이 지면을 덮고 있으면 따뜻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날씨가 더 따뜻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눈은 태양의 복사를 반사하기 때문에 태양의 열이 지면에 도달하는 것을 막아주어 온도를 낮추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눈이 오는 날 날씨가 덜 추운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눈이 오면 따뜻한 느낌이 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은 물이 얼어 붙은 상태이기 때문에, 물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열을 빼앗는 증발 냉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눈이 내리는 동안에는 지표면의 열이 빼앗기지 않아서, 날씨가 덜 추운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눈이 오거나 흐린 날보다 맑은 날이 더 춥습니다. 체감기온이 아니라 실제 기온이 낮습니다.

    이것은 지구 복사 때문입니다. 모든 물체는 절대온도가 0도(-273°C)가 아닌 이상 자기 온도에 맞는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지구는 온도가 낮아 적외선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낮에는 태양이 비추므로 지구가 복사하는 양보다 많은 양이 들어와 온도가 올라갑니다. 그러나 밤이 되면 에너지를 방출하기만 하므로 온도가 내려갑니다.

    대기 중에 있는 수증기는 적외선 복사가 지구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줍니다. 흐리거나 눈오는 날은 맑은 날에 비해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으므로 맑은 날에 비해 온도가 덜 내려갑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을 이루는 작은 물방울들이 온도가 낮아지면서 얼음으로 변합니다. 여기에 뭐 수증기가 달라붙으면서 덩치가 점점 커지다가 한계치를 넘으면 떨어지는 게 눈인데요. 이때 물방울이 얼기 위해서는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열을 밖으로 배출합니다. 그래서 이 수증기나 물이 눈으로 변하면서 그 자체는 차가워지게 됩니다.
    얼면서 소모되는 열에너지 때문에 이 주변 온도가 올라갑니다. 보통 1g의 눈이 만들어질 때 8kcal 정도의 열에너지가 발생한다고 하니까, 눈이 오는 날 기온이 더 올라가게 되는 건 어떻게 보면 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볼 수 있겠죠.
    거기다가 우리가 흔히 '함박눈'이라고 하는 눈송이가 큰 눈이 내릴 때는 날씨가 더 따뜻해지는데요. 눈송이가 크면 그만큼 어는 데 에너지가 많이 들 수밖에 없잖아요. 그러니까 배출하는 열에너지도 많아지게 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