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과자, 라면, 참치의 세계적 먹방
우리나라 과자, 라면, 참치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네요 ㅎㅎ
불닭볶음면의 경우 예전부터 계속 인기가 있었고,
최근에는 고추참치+마요네즈 조합이 인기가 있다고 하네요
SNS를 통해서 알려지다 보니 파급효과가 더 어마무시 한 듯 합니다.
이런 트렌드들은 그 주기가 점점 짧아지나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K-푸드 확산은 SNS, 유튜브 먹방을 통한 자연 홍보 효과가 큽니다.
불닭볶음면, 참치, 라면류 등은 단기간에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트렌드 주기는 짧지만 브랜드력 강화로 수출은 지속 성장 중입니다.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식품이든 컨텐츠든 점점 방대해짐에 따라 유행이 빨리 돌기는 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말씀하신 것처럼 그 주기가 전에 비해 짧아진다고 느껴집니다.
하나의 유행이 오래가기 보다는 또 다른 유행이 만들어지는 것들이 매우 빠른데,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 K컨텐츠들이 차별화 된 인기를 끌기 위해
점점 다양하고 특이한 것들을 가져오다 보니 발생하는 현상이지 않나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불닭볶음면의 경우 맛있게 매운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매움으로 인해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세계적으로 수출이 되고 있으며 이는 유튜브 쇼츠 등을 통해서도 확인이 되는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통해서 트렌드들이 보다 주기가 짧아지겠지만, 맛있는 요소는 끝까지 가더라구요. 가령 카스테라와 같은 것은 한 시기를 타고 끝났습니다. 탕후루도요. 다만 마라탕의 경우는 아직도 먹고 잇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보다 더 짧아지고 있는건 사실입니다. 최근의 트렌드나 민감도를 보게 되면 유튜브 숏츠와 틱톡 숏츠 그리고 인스타그램이나 각종 SNS등의 활동이 더해져서 글로벌적으로 파급력도 빠르고 반대로 이러한 민감도나 인기가 빠르게 식어가는것도 급속도로 빨라지고 있습니다.
즉 생애주기가 더 빨라지고 있으며 1년이상 유지하는것도 생명주기가 굉장히 긴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대다수의 SNS을 통한 파급력은 유행이나 트렌드의 경향으로 이어지고 있고 그중에서 일부만 실제로 하나의 표준화되거나 대중화가 되는형태로 구축이 되지만 이런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는게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처럼 이러한 트렌드의 주기는 점점 더 짧아지는 추세입니다. 과거에는 인기를 끄는 상품의 수명이 비교적 길었지만, 최근에는 SNS 등을 통해 반짝 인기를 얻었다가도 4개월 만에 사라지는 초단기 트렌드가 일반화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K-푸드 트렌드의 주기는 소셜 미디어, 특히 숏폼 콘텐츠의 압도적인 파급력 때문에 점점 짧아지는 추세가 맞습니다. 틱톡 등에서 새로운 '챌린지'나 '밈'이 순식간에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유행의 시작과 소멸 속도가 빨지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제품을 활용한 고추참치+마요네즈 같은 변형 레시피가 활발히 창조되고 소비되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유통 채널이 현지화되어 접근성이 좋아진 것도 유행 상품이 즉각적인 구매로 이어지게 하여 트렌드 순환을 가속화합니다. 결국 K-콘텐츠와 결합된 체험 인증 문화가 트렌드의 생명력을 연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유행을 끊임없이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먹방 트렌드의 주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SNS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 혹은 트렌드는
그 주기가 매우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세상에 K푸드 먹방 뿐만 아니라 K 팝 K 뷰티 가 세계적인 트렌드가 되어가고 있는 느낌이긴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요즘 트렌드 변화 자체가 워낙 빠르니 언제 이런 열기가 식어도 이상하지 않은거죠
대한민국 국민으로써 좋기도 하고 좀 더 이 열기가 더 커져서 하나의 큰 문화로 자리잡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