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3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가 과연 현실적으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나요?

방사능 오염수라는 그 해역에서 검사를 해 보면 인체에 유해한 수치 이하로 결과가 나왔다는데도 우리나라는 계속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해류를 통해 바닷물이 계속 이동하면서 방사능 수치도 낮아지는데 이걸 방류했을 때 지금도 위험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5.14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량의 방사선을 일시에 받았을 때 피부이상, 구토, 탈모, 백혈구의 농도변화와 같은 급성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반면에 방사선에 의한 인체영향중 잠복기를 가지고 오랜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만성 영향이 있는데 암과 백내장이 대표적이다

    방사능 오염수에 오염된 어류를 먹으면 방사능에 노출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는 현재 안전성이 논란되는 문제입니다. 방사능 오염수는 핵발전소에서 생산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물로, 주로 지하수와 바다로 배출됩니다. 이러한 방사능 오염수는 일부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경우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특히 방사능 물질 중에서도 장기간체제인 시즌과 셀레늄은 인체 내에 축적되어 건강에 매우 위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방사능 농도가 허용치 이하인 물만 바다로 배출할 계획이며, 국제 원자력 기구에서도 일본 정부가 세운 방사능 농도 기준에 대해 "세계적인 안전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보인다"는 평가를 내리는 등 안전성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입니다. 그러나 방사능 오염수 문제는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안전 대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