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초음파를 다시 보는게 좋을까요?
23년 봄쯤에 유방검사를 했었어요. 별 이상은 없고 치밀유방이라고 나왔구요. 25년 1월쯤 임신이 되었는데 가슴이 너무 아프고 몽우리 잡히는 것 같아서 동네 작은 의료원에서 유방초음파만 봤는데 괜찮다고 하시더라구요. 근데 작은 병원이기도 하고ㅜㅜ .. 치밀유방인지 말씀도 못드려서 대충 보신건 아닐까하는 마음이 들어서요 혹시 큰병원 다시 가보는게 좋을까요? 아님 임신해서 가슴이 약간 몽우리지고 아픈걸까요?? 참고로 집안내력에 유방암이나 여성암이신 분들은 안계세요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23년 봄쯤에 유방검사상 치밀유방이었으며 25년 1월쯤 가슴이 너무 아프고 몽우리 잡히는 것 같아서 동네 작은 의료원에서 유방초음파만 봤는데 괜찮다고 하시더라구요. 치밀유방인지 말씀도 못드려서 대충 보신건 아닐까하는 마음이 들어서요 혹시 큰병원 다시 가보는게 좋을까요? 이점이 궁금하셨군요
일단 치밀유방의 경우 병적인 소견은 아닙니다. 젊은 분이나 마르신 분은 이렇게 보일 수있습니다. 단지 엑스레이로 관찰이 안되는 부분을 유방초음파로 확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방검사의 경우 엑스레이와 초음파 둘 중에서 어느 것이 유방암을 발견하는데 중요한 것인가 하면 유방 엑스레이입니다
치밀유방으로 엑스레이가 잘 보이지 않더라도 중요한 것은 유방엑스레이 입니다
환자분의 경우 검사를 했던 의료진에 대하여 절대적인 신뢰감이 있는 것은 아닌 것처럼 보입니다.
다른 병원을 방문하셔서 유방엑스레이 유방초음파를 확인을 해보세요 이때는 증상을 꼭 이야기 하시구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의 변화로 인해 유방이 민감해지고 통증이 있을 수 있으며, 그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는 종종 유방에 몽우리가 잡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정상적인 변화입니다. 치밀유방은 유방조직이 밀도가 높아 초음파 검사에서 결과 확인이 다소 까다로울 수 있지만, 전문적인 초음파 장비를 갖춘 병원에서는 보다 정확한 검진이 가능합니다. 기존에 검사했던 곳의 결과에 의구심이 들거나 마음이 놓이지 않는다면, 더 큰 병원에서 재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유방암이나 여성암에 대한 가족력이 없더라도 안심이 되지 않으시면 정밀 검사를 통해 확신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가슴이 민감해지고 아프거나 몽우리가 잡힐 수 있어요.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인데, 임신 중에 유방 조직이 변하면서 치밀해지거나 덩어리가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다만 걱정이 된다면 유방 초음파 검사 결과를 확인해보고 싶으실 거예요. 특히 치밀유방인 경우에는 더 정밀한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어요. 작은 병원이라고 해서 검사를 대충 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마음이 불안하시다면 큰 병원에서 유방 전문의를 찾아가 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이렇게 하면 더 안심이 될 수도 있고, 임신 중에 변화하는 유방 상태를 안전하게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직접 가보셔서 전문의의 의견을 듣고 검사 결과를 확인하면 불안감을 덜 수 있을 거예요. 임신 중에는 몸의 여러 변화가 있으니 자주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의의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해요. 추가로 유방 자가검진을 해보시는 것도 좋은데, 새로운 덩어리나 비정상적인 변화가 느껴진다면 바로 병원에 꼭 방문해 주세요. 건강 관리에 신경 써주시고, 안전한 임신 기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가슴에 통증이나 몽우리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유선이 자극을 받아 부풀거나 붓는 현상도 있을 수 있죠. 하지만 치밀유방이 있는 경우, 일반적인 유방조직이 두꺼워져서 몽우리가 만져지기도 하므로, 임신과 관련된 변화인지 아니면 다른 원인인지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큰 병원에서 다시 유방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