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 강세일 때는 반도체 자동차 같은 분야에서는 불리한 조건이 될 수도 있나요?
원화 약세가 끝나고 강세로 전환이 되게 되면
원화 강세라는 것이 우리나라 주력 사업인 반도체나 자동차 분야에서는
불리한 조건으로 다가올 수도 있는 것인가요?
원화 강세가 될 때
우리나라 산업군들 중에서 가장 환경적으로 분리한 위치에 처하게 되는
사업군은 어떤 산업인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 강세가 되면 반도체와 자동차 같은 수출 중심 기업들에게는 일반적으로 불리한 조건이 됩니다. 이는 해외 시장에서 물건을 팔아 달러를 벌어들인 후, 이를 원화로 바꿀 때 환전되는 원화 금액이 줄어들어 환차손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수출 기업의 매출과 영업 이익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나, 가격 경재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원화가 강세일 때에는 반도체, 자동차 분야가 불리하게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원화가 강세라는 것은 원-달러 환율이 내려가는 것을 의미하기에
수출 기업의 입장에선 불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 강세일 때는 반도체나 자동차 같은 주요 수출 산업 분야에 오히려 불리한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수출 비중이 높은 이들 기업은 원화 가치가 오르면 해외 시장에서 제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지게 되어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원가구조 상 수입 비중이 큰 업체의 경우 원화 강세일 때 유리하고 반대로 국내 원가 비중이 큰 수출 제조업의 경우 반대로 불리합니다. 수출 비중이 큰 한국의 경우 전반적으로 수출기업 전체가 원화 강세는 가격 경쟁과 원화 결산 시 매출 감소로 수익이 감소하는 불리한 위치에 있게 됩니다. 그러나 원화가 약세라고 해도 미달러 대비 원화만 약세는 아니기 때문에 현재 원화 약세가 수출 기업에 무조건 유리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강세가 되면 수출 기업은 달러 매출이 줄어 이익이 감소하는 구조입니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처럼 해외 매출 비중이 큰 산업은 영향이 더 큽니다.
반대로 원자재 수입 비중은 큰 항공, 유통, 화학 일부는 원가가 줄어 유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강세로 전환될 경우 이는 해외에서 벌어들인 달러를 원화로 환전할 때 기업의 수익이 감소하므로 우리나라 주력 수출 산업 전반에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가장 불리한 위치에 처하는 사업군은 환 헤지 능력이 부족한 중소 중견 수출 기업입니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같은 대기업은 환율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중소기업은 환율 변동에 대비책이 부족하여 원화 강세로 인한 수익성 약화의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섬유, 일반 기계, 철강 화확 등 기술력보다 가격 경쟁력이 중요한 범용 품목을 수출하는 산업은 원화 강세로 인해 수출 가격이 비싸지면서 중국 등 경쟁국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급격히 상실하여 수출 물량이 감소할 위험이 있습니다. 즉 원화 강세는 수출 기업의 수익성을 약화 시키고 재무적 대응 능력이 약하고 가격 탄력성이 높은 중소 중견 수출 기업과 범용 제품 산업이 가장 큰 어려움에 겪습니다.
안녕하세요.
원화 가치가 상승한다는 것은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하락하는 것을 의미하구요 이 경우, 국내 수출 기업이 해외에서 제품을 팔아 달러로 벌어들인 매출을 국내로 가져와 원화로 환전할 때 환전되는 원화 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출 채산성이 악화됩니다.
특히 가격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는 환율 하락으로 인한 수익 감소를 상쇄하기 위해 수출 가격을 올리기 어려워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고 반도체, 자동차 산업은 주요 제품을 달러로 결제하는 경우가 많아 이 영향권에 놓입니다.
다만, 최근 반도체처럼 고부가 기술력이 중요한 품목이나 시장 지배력이 높은 기업은 환율 변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수있습니다니다.
원화 강세 환경에서 가장 불리한 위치에 처하기 쉬운 산업군은 수출 비중이 높고, 제품 가격 경쟁력이 주요한 경쟁 요소이며, 해외 경쟁사(특히 일본 기업)와 경쟁이 치열한 산업이구요
대표적으로는 자동차, 기계 등의 산업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원화 강세는 수출 기업에 불리해요.
반도체·자동차 등 수출 비중 높은 주력 산업은 달러 수익이 원화로 환산 시 줄어들어 수익성 악화돼요.
특히 삼성전자·하이닉스, 현대차·기아가 타격 큽니다.
반면 항공·정유 등 수입 원자재 의존 산업은 원가 부담↓로 유리합니다.
가장 불리한 건 반도체·자동차 수출 대기업군입니다.
물론 지금은 원화약세로 수출기업은 좋겠죠.
그러나 장기적으로 결국 수출기업도 어렵게 됩니다.
이유는 수입물가상승(원자재) 때문에 수출가격이 다시 올라가기 때문에 수출가격경쟁력이 악화되기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 강세가 되면 수출 가격 경쟁력 약화 되기 때문에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됩니다.
말씀하신대로 반도체나 자동차는 수출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불리합니다.
또한 조선, 석유화학, IT제품 등도 불리해지는 산업군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