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가 녹게 되면 어떠한 일들이 생겨날까요?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는 기본으로 생기겠지만, 빙하 내부에 있던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이런 것들도 실제로 존재하는걸까요? 녹으면서 인류를 위협할 수 있는 무언가가 존재하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빙하가 녹으면 지구 해수면이 상승하며 해안가와 섬지역의 홍수위험이 증가합니다.
실제로 우리나라도 지대가낮은 서울 강남이나 인천송도쪽은
미래에 홍수가 발생할확률이 점점 올라가고 있다고합니다.
또한 빙하가 녹으며 만들어지는 담수가 해양의 염도와 해류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지구 기후나 날씨의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생물과 바이러스를 수만년에서 수십만년정도 가두고있는데
빙하가 녹으며 이들이 세상에 풀려날 가능성이 있다고합니다.
실제로 빙하에서 기존에 알지못했던 미생물이나 바이러스를 발견하고있고
그중 일부가 사람이나 동물에게 전염될 가능성이 있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예상을 하고 계시겠지만,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 기후 변화, 생태계 파괴 등 다양하고 심각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상승하여 해안 도시 침수, 섬 침몰 등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빙하는 태양열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데, 빙하가 줄어들면 지구 온도가 더욱 상승하여 극심한 기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수면 상승과 기온 변화는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육상 생태계의 서식지를 감소시켜 생물 다양성을 위협합니다.
특히 빙하는 거대한 담수 저장고 역할을 하는데, 빙하가 녹으면 많은 지역에서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빙하 속에 미생물과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미 빙하 속에서 고대 미생물을 발견한 바 있으며, 이들이 빙하가 녹으면서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빙하 속 미생물이 인류를 위협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알지 못합니다. 빙하 속 미생물 대부분은 극한 환경에 적응되어 있어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에 미생물이 활동할 수 있을지 조차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도 빙하 속에 갇혀 있던 메탄 가스가 방출되어 온실효과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고 빙하가 녹음으로 인해 해양 순환이 변화하여 전 지구적인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 기후 변화, 생태계 파괴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빙하 속에 갇혀 있던 고대 미생물과 바이러스가 노출될 가능성도 실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빙하는 수천 년 또는 수만 년 동안 고대 생물체의 유전자와 병원체를 보존해 왔는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미생물 중 일부는 지금의 생태계와 인류가 면역이 없는 병원균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됩니다. 특히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고대 바이러스가 발견된 사례도 있어, 빙하가 빠르게 녹으면서 이전에 알지 못했던 미생물이나 병원체가 방출될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빙하가 녹으면, 불활성화된 바이러스가 활성화될 수도 있고 해수면이 급격하게 상승하며 지구 온난화를 더 악화시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현존하는 생물들이 접해못지못한 미생물이나 바이러스가 등장할 수 있고 햇빛을 반사해줄 수단이 크게줄어들어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