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해충과 익충으로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곤충들이나 여러 벌레들은 보면 어떤 것은 해충이고 또 어떤것은 익충이라고 하는데요

이번에 이슈가 되고 있는 러그버그도 익충이라고 하던데

익충과 해충으로 구분하는 기준이나 생물학적 근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우선 이는 전문가마다 의견 차이가 있는데요

    결론적으로는 조금이라도 사람이나 생태께에 도움을 주면 익충

    그 조금이 안좋은 역할을 해충으로 하는거죠

    그 비율의 차이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해충과 익충의 구분은 생물학적 기준이 아니라 인간에게 해를 끼치면 해충, 이익이 되면 익충으로 보는 인간 중심의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러브버그는 유기물 분해로 생태계에 도움이 되지만 사람에게 불편을 주면 해충처럼 인식됩니다. 감사합니다.

  • 생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단지 인간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해당 생물이 인간에게 이로움을 주는지, 아니면 해로움을 주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해충의 정의는 인간의 생활이나 농업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곤충이나 작은 생물들을 말합니다.

    그래서 해충의 개념은 사회경제적 여건이나 지리적 차이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인위적인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에서는 해충이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또한, 같은 종이라도 발육 단계에 따라 해충이 되기도 하고 그 반대도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익충의 정의는 직간접적으로 사람에게 이익을 주는 이로운 곤충이나 작은 생물들을 말합니다.

    익충 역시 인간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생긴 개념입니다. 하지만, 그리마 처럼 바퀴벌레의 천적이지만 외형이 징그럽다는 이유로 익충임에도 불구하고 해충 취급을 받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해충과 익충은 해당 생물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인간 중심적인 주관적인 개념입니다.

  • 해충과 익충을 나누는 기준은 전적으로 인간의 관점에서 이로움을 주는지 해를 주는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생물학적인 절대적 기준은 없으며, 특정 곤충이 인간에게 경제적, 위생적, 또는 심리적 피해를 주면 해충으로 분류하고, 반대로 농작물 수분, 해충 제거, 환경 정화 등 이로운 역할을 하면 익충으로 간주합니다. 동일한 곤충이라도 성장 단계나 서식 환경, 인간의 이용 방식에 따라 해충이 되기도 하고 익충이 되기도 하는 등 그 개념은 매우 상대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해충과 익충의 구분은 생물학적인 기준이아니라, 인간의 경제적이익이나

    피해여부, 기분에따라 나뉜 인위적인 분류입니다.

    그래서 인간에게 이와같은 해를 끼치면 해충, 이익을주면 익충으로봅니다.

    러브버그는 그래서 농작물을 해치지도, 사람을 직접공격하지도 않기고

    오히려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어주기도하는 영향이있어

    익충으로 분류되기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