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협상 내용이 어떻게 되나요?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이슈였던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그래도 잘 마무리 된 거 같더군요.
관세 협상 내용에 대해서 이런저런 이야기가 들리고 있는데 우리나라와 미국의 자세한 관세 협상 내용이 어떻게 되나요?
한·미 관세 협상은, 미국이 예고한 25% 관세를 15%로 낮추고, 한국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는 구조로 타결되었습니다.
8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던 한국산 제품에 대한 25% 고율 관세 부과 위협을 15%로 낮추는 데 성공한 것입니다. 이는 일본과 EU와 동일한 수준이며, 한국은 반도체·제약 등 주요 산업에서도 다른 국가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최혜국 대우(MFN)를 확보했습니다.
1,500억 달러는 미국 조선업 활성화를 위한 선박 협력, 2,000억 달러는 반도체, 바이오, 배터리, 원자력, 핵심광물 등 경제안보 관련 전략산업 분야에 투자·대출·보증 형식으로 투입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미국이 내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했던 상호관세는 25%에서 15%로 낮아졌습니다. 우리나라 대미 투자액은 3500억 달러로(조선업 협력 확대 차원에서 1500억 달러, 반도체와 원전, 2차 전지 바이오 등에 대해 2천억 달러) 결정되었고,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로 개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은 자유무역협정 이후 지속적인 통상 마찰과 협력을 반복하며 관세 협상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최근 미 IRA법과 반도체 ,전기차 보조금 이슈 등으로 세액 감면, 무역 불균형 관련 협의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협상은 ‘최악은 피했다 쪽에 가까워 보입니다. 미국이 우리나라 수출품에 25퍼센트 고율 관세를 예고했었는데, 실제 적용은 15퍼센트 수준으로 낮췄고, 그 대신 우리나라는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와 1000억 달러 상당의 에너지 구매를 약속했습니다. 이 안에는 미국산 LNG 수입 확대, 조선배터리반도체 산업 현지 투자도 포함돼 있고요. 겉으론 관세를 일부 인정한 모양새지만, 핵심 전략 산업의 시장 접근권을 유지한 걸 보면 실익은 챙긴 셈입니다. 트럼프식 관세 압박에 나름 유연하게 대응한 구조라고 볼 수 있고, 당장은 수출 경쟁력에 큰 타격은 없겠다는 분위기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오늘 새벽 한국과 미국은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고,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 투자 및 1,000억 달러 규모의 LNG 등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는 등 경제협력을 확대하는 조건으로 관세 협상에 전격 합의했습니다. 미국산 자동차 및 농산물 등의 시장 개방도 포함되어, 2주내 정상회담에서 추가 투자안이 공개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번 관세협상은 한마디로 퍼주기 였습니다.
일본과 비교하는데 우리나라는 한미 FTA로 인해 기존 관세가 0%였고 일본은 기본 2.5%관세였으며 미국산 얼얼지도 1000억 달러치를 구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협상 내용입니다.
일단 상호관세는 15퍼센트로 확정되었고
투자금은 3,500억 달러입니다.
여기에 추가로 미국산 에너지를 1,000억 달러어치 구매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율은 15%로 합의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1,000억원 어치 LNG 구매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또한 미국에 3,500억원어치 투자를 하기로 했는데 아직 그 형태는 어떤식으로 될지 미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