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별일 아닌 일에 아이가 울고 징징거려요

별일 아닌데 아이가 울고 징징대는데 그럴 때마다 당황스럽네요 이럴때마다 제가 아이한테 어떻게 반응하거나 이야기해줘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어지현 육아전문가
    어지현 육아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 아이의 마음 조절력이 크지 않아서 그럴 수 있습니다.


    아이가 울면 '우리 아기 속상했어? 과자를 더 못먹어서 속상하구나.'하면서 마음부터 읽어주세요. 그렇다고 마음대로 하게하라는 건 아닙니다.

    안되는 건 안되는 거라는 걸 알려주되 그 속상한 마음은 알아주세요.


    의외로 이유는 모른채 감정이 앞서는 아이들이 많고 본인 감정에 매몰되어 이유없이 별일 아닌것에 습관적으로 징징대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남아의 경우 더 본인의 감정을 이성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워합니다.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조절력도 키워지는 것이므로 감정 읽어주기부터 해보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반복되는 상황에서는 대응하지 않거나 자리를 피하는것이 도움이 되며 울거나 떼쓰는 것으로는 원하는 것을 해결하거나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려주셔야합니다. 하지만 아이의 마음에 충분히 공감해주시고 위로해주며 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별 일 아닌 일에 운다면 그리 크게 동요하지 마시고, 아이가 징징대는 것을 멈출 때까지 기다리세요.

    엄마가 무반응으로 일관하면 아이 역시도 당황 할 것이고 다음 번에는 징징대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징징대고 우는 것이 심하다고 여겨진다면 굴고 짧게 단호하게 “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울지 않고 징징대지 않고 또박또박 말하여 달라고 이야기해주세요”

    아이에게 생각할 시간을 준 후 아이의 감정을 들어보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운다고 하여도 변하는 것이 없음을 알려주시고

    이것이 일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아님에 대하여

    교육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툭하면 징징거리거나, 울 때는 무엇 때문에 우는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의존심이 강한 아이는 잘못을 했을 경우 혼날까봐서 울기도 하고,욕구가 강한 아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징징거리거나 울 수 있어요

    아이의 우는 원인이 합리적인 것이 아니면 울더라도 짜증을 내거나 달래지 마시고 무관심한 태도를 취하는 게 좋습니다.

    울음이 모든 걸 해결해주는 요술방망이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잠시 동안 혼자 놔뒀다가 아이의 감정이 가라앉으면 왜 우는지 그 이유를 아이가 설명하도록 하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별일아닌데 징징거리는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