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는 원래 추운 바다에 살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못 오게 되었나요?
옛날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명태들이 많이 살았어요.
그래서 어촌에서 명태를 잡아 여러가지 요리를 할 수 있었죠.
하지만 왜 지금은 겨울이 되어도 우리나라에 오지 않고 다른 바다로 헤엄쳐 갔나요?
원래 추운 바다에 사는 물고기였는데 온난화 때문에 우리나라로 못 오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명태는 0도에서 10도 냉수어인데요
1980년대 말 동한난류 강화로 수온이 상승하고 산란 및 회유 경로로 북상해 한국에서 많이 없어지긴 했어요
말씀하신대로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바로 기후변화로 인한 동해안의 수온 상승입니다.
명태는 원래 차가운 수온을 좋아하는 한류성 어종으로 산란과 유생의 성장에 적합한 차가운 수온대를 따라 이동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동해안의 표층 수온은 세계 평균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명태가 산란하고 어린 물고기들이 자라는 시기에 동해안의 수온이 많이 오르면서 명태의 서식 환경이 크게 나빠졌습니다.
특히 1980년대 후반 급격한 기후변화가 명태 개체수 감소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는데, 당시 약해진 몬순으로 겨울철 기온이 상승하고 북서풍이 약화되면서 동한난류의 북상이 저지되지 못해 명태의 산란 및 어장 해역의 온난화가 가속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명태 유생의 생존율이 크게 줄어들고 서식지로 이동하는 유생 수도 감소했다고 합니다.
물론, 남획도 명태 개체수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긴 했습니다만, 더 큰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지의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명태는 원래 차가운 바다를 좋아하는 물고기라 예전에는 겨울마다 우리나라 동해안으로 많이 왔지만, 지구 온난화로 동해 수온이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연안이 명태가 살기에는 너무 따뜻해져 더 이상 내려오지 못하고 북쪽의 차가운 바다에 머물게 되어 지금은 우리 바다에서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명태가 우리나라 바다에 오지 않는 주된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남획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한류성 어종인 명태는 차가운 물을 선호하는데, 동해안의 수온이 점차 높아지면서 명태가 서식하고 산란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줄어들어 북쪽으로 이동하거나 개체 수가 급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