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이 안와'를 반복하는 아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저녁 시간마다 잠에 자려고 하면 눈이 똥글한 상태로 "잠이 안 와"라고 말을 합니다. 늘 8시 30분에 자러 일찍 들어가는데 막상 자는 시간은 10 시가 다 되어야 잠이 드네요. 어떻게 하면 아이가 편안하게 잠을 잘 수 있게 할 수 있을까요?
아이가 편안하게 잠이 들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의 수면 패턴을 정해주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매일 일정한 장소에서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잘 준비를 하십시오.
잠을 자려고 누워서는 책을 한권 읽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모든 준비가 다 되었다면 집안에 있는 모든 전등을 소등하고 암막커튼 등을 이용해서 빛을 차단하는게 수면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과 같은 기기는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도 익숙해질 것입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밤10시~새벽2시 사이에 성장 호르몬이 왕성하게 분비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간 이전에는 깊은 잠에 들어가야 키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잠자는 방의 실내 온도(20~22℃) 및 습도(5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방 안의 산소 공급을 위해서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잠드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은 부모님에게도 큰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우선, 잠자기 전 루틴을 정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것이 생체 리듬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잠자기 전 30분에서 1시간 동안은 전자기기 사용을 줄이고, 책을 읽거나 조용한 놀이로 마음을 진정시키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잠자리 환경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방이 어둡고 조용하며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드러운 조명과 편안한 침구를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잠자기 전에 불안하거나 긴장한 기분이 든다면,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호흡 운동을 통해 긴장을 풀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마지막으로, 아이가 잠들기 전에 "잠이 안 와"라는 말을 하게 되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약 아이가 잠들기 전 스트레스를 느끼거나, 어떤 생각이 머릿속에 떠오른다면 그것을 함께 이야기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런 방법들을 통해 아이가 점차 편안하게 잠드는 습관을 들일 수 있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잠이 안와 라고 하는 이유는
너무 피곤해서 또는 잠들기 전에 미디어 영상을 보아서, 불안해서 (하루 중 안 좋은 경험으로 인해),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 합니다.
우선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심리적인 부분을 치유해 주는 것이 먼저 이겠구요.
잠들기 전에는 미디어를 보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 수면 루틴을 형성해서 잠자리에 편안하게 들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하지만 아이가 너무 잠을 못잔다 라고 한다면 병원 상담을 통해서 치료를 받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매일 동일한 시간에 잠을 잘 수 있도록 합니다.
주말이라고 늦게 자거나 늦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잠을 자기 전에는 격한 활동이나 미디어는 시청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따뜻한 물에 목욕이나 책을 읽거나 하루에 있었던 일들을 이야기 합니다.
조용한 음악이나 백색 소음을 통해서 수면을 도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잠에 잘 들지 못할 때에는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수면패턴을 설정해주는 게 좋습니다
자는 시간 전에 목욕이나 책읽기 같은 조용한 활동을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잠자리에 드는 것을
자연스럽게 준비할 수 있도록 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아이의 침실을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조명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소음을 없앰으로써
편안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잠자기전 전자기기를 만지는 습관이 있다면 되도록 사용을 피하도록 하세요 자기 한시간전부터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불안이나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여 이야기해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호흡운동을 통해 긴장을 줄여주면 아이가 스스로 잠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수면 환경을 조성해주세요. 조명을 줄이고 소음을 최소화하며 아늑한 침실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잠들기 전 긴장을 풀 수 있또록 낮은 조명에서 조용한 책을 읽거나 편안한 음악을 들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잠자기 1시간 전부터 활동을 줄이고 규칙적인 수면 루틴을 만들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