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진심감사하는시금치
진심감사하는시금치

매년 여름 성수기때 해수욕장에 쓰레기 문제가 난리라고 하던데 해법은 어떻게 될까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되자 해수욕장마다 몰려드는 관광객 수만큼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지난 주에만 해도 해수욕장에 쓰레기 문제가 난리라는 뉴스 보도를 보다보니 마음이 무거워지는데요 이런 쓰레기들이 바다로 떠내려가서 플라스틱이 조류를 타고 떠다니는 모습을 보니 이게 맞자 싶더라고요. 지자체에서 분리수거함을 확대 설치하고 벌금을 부과하는 제도를 검토 중이라지만, 성수기 관광객이 워낙 많아 관리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하더라고요. 쓰레기 되가져가기 인증제를 도입하거나, 친환경 제품만 판매 허용하는 방식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해수욕장의 쓰레기 문제를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한 지혜로운 방법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담 인력을 배치하여 지속적으로 쓰레기를 수거하고 감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해수욕장 인근 지역에 분리 수거함을 설치하거나 해수욕장 내에서 친환경 제품을 판매하여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이용하는 관광객들이 쓰레기를 되가져가기 인증제를 도입하는 등 자발적 노력에 동참 하도록 홍보와 교육을 진행 하는 것이 도움이 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여름철 해수욕장은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생활폐기물, 일회용품, 음식물쓰레기, 임시화장실 오물 등이 평소보다 다양한 스레기가 집중적으로 배출되고 있습니다. 많은 지자체에서 해수욕장에 임시 분리배출함을 설치하고 민간 용역업체와 연계 수거 시스템을 강화하며 해양 쓰레기 수거 전단 인력 및 자원봉사자(자율청소조)를 연계하고 있지만 쓰레기 무단 투기와 재활용(음식물, 비닐, 플라스틱 등) 미이행 문제는 해년마다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해양생태계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쓰레기 되가져가기 인증제 도입, 친환경 제품만 판매 허용 등 좋은 방법이며 사전 쓰레기 발생량 예측 시스템, 환경관리 표준 매뉴얼, 재사용 가능한 포장재 의무화, 국민의식 개선 등 정책적이고 구조적인 개선책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또한, 지자체와 시민 모두 예방 중심의 쓰레기 관리 문화가 형성되어야 해양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