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냉철한라마35
냉철한라마35

한국경제는 이제 그 다이내믹성을 잃어버린 건가요

한국사회 모습도 언제부턴가 뭔가 활기를 잃어버린 거 같고요 한국 경제도 성장률이 지지부진한데요 이제 선진국으로 조금 들어서면서 다이내믹 성도 사라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도 선진국이 되고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더이상 고성장은 어려운 것으로 보이나

      2차전지,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있어서 아직까지도 강점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 경제가 활기를 잃었다기 보다는 한국 경제가 성장이 많이 이루어지다 보니 이 이상의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더욱 혁신이나 혹은 더 많은 생산의 확대가 필요하지만 세계 경제의 점유비는 한계가 있다 보니 성장성의 임계치가 도달할 때가 되기는 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이 다이내믹 성을 잊어 버린것이 아니라 선진국에 들어 섰다는 의미 입니다. 중국은 아직도 선진국이 아니기에 계속 해서 성장률이 5% 이상 하고 있지만 선진국 중에는 이렇게 중국 처럼 매년 5% 이상 씩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보통이 2-3% 입니다. 그것은 주식 시장에서 대 기업들의 주식이 약간씩만 변화하는 것과 동전주의 큰 변화와 차이가 나는 것과 비슷한 이유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래먹거리산업은 보이지 않고, 출산율은 계속 떨어지면서 저성장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일시적으로 성장률이 높은 해는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저성장국면에 접어들었습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