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무조건 장단기금리차 역전이 발생하나요?

혹시 금이인상속도가 나무 빠를때만 나타나고(단기채에는 바로 반영이 되지만 장기채는 시간에 따른 다른 변수들이 있어 바로 반영안되) 서서히 금리를 올리면 장단기금리차 역전이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장단기금리 역전현상은 금리 인상의 속도와 큰 관계는 없습니다.

      • 다만 향후 경제를 단기 경제 보다 암울하게 보는 관점이 많을 수록 장기채권에 대한 매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면서 금리 역전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 그래서 장단기금리 역전 현상을 경기침체 시작의 신호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국채의 장단기 금리 역전은 미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한 몫을 했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작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미국 등 글로벌 경기의 침체 가능성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긴 채권의 금리가 만기가 짧은 채권 금리 보다 높습니다. 이유는 매우 단순한데 긴 만기 동안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리스크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높은 금리를 요구하게 됩니다.

      반면,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단기채권금리>장기채권금리 현상은 현재의 경기 상황을 더 나쁘게 보고 있기 때문에 높은 금리 수준으로 거래가 되는 것이고 이는 과거 경험칙 상 경기 침체의 전조라고 받아 들이고 있습니다.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무조건은 아니구요 단기금리는 물가를 장기금리는 성장률을 따라가기 때문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장단기금리역전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연준이 빠르게 금리가 아니라 천천히 경제 성장에 맞추어서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에는 장단기금리역전차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장단기 금리차와 같은 경우 너무 급격하게

      금리를 인상하였기에 최근에 발생한 것이며

      아무래도 서서히 올리면 발생 가능성이 다소 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