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에쁘니여자
에쁘니여자

연기감지기 설치기준 중 제1종 연기감지기는 어떻게 설치하는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중 연기감지기 설치기준에서 제1종 연기감지기는 어떻게 설치하는지 구체적인 설치 사항들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제1종 감지기 설치사항은

    계단 경사로에서 수직거리 15m마다 설치

    복도 통로에서 보행거리 30m마다 설치

    벽 또는 보로부터 0.6m 이상 떨어져 설치

    천장 부근 배기구 있는 경우 그 부근에 설치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제1종 연기감지기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야 하며, 천장 높이에 따라 위치가 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천장에서 0.5m 이내에 설치해야 하며, 감지기 간의 거리는 9m를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동시 차단 공간에 설치할 경우, 감지기 사이의 거리는 15m를 초과해서는 안 됩니다. 감지기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방화구획이나 장애물 주변에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데 주의해야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희 전기기사입니다.

    제1종 연기감지기의 설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설치 위치

       - 천장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 천장이 없는 경우나 천장의 높이가 너무 높을 때는 벽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간격

       - 일반적으로 천장에 설치할 경우, 감지기 사이의 거리는 최대 9m입니다.

       - 감지기에서 벽까지의 거리는 최대 4.5m입니다.

       - 방의 크기에 따라 감지기의 수를 적절히 배치해야 합니다.

    3. 설치 높이

       - 천장 높이가 8m 이하일 경우, 천장에 설치합니다.

       - 천장 높이가 8m를 초과할 경우, 천장과 0.5m 이내의 벽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4. 장애물 회피

       - 감지기는 장애물로 인해 연기가 도달하지 못하는 위치에 설치하면 안 됩니다.

       - 보, 덕트, 배관 등의 장애물 주위에는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 설치합니다.

    5. 특별한 공간

       - 주방, 욕실, 화장실 등의 특정 장소에서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감지기를 설치하지 않거나 특수한 감지기를 사용합니다.

    6. 유지 보수

       - 감지기는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청소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기기사입니다.

    연기 감자기는 연기 신호를 감지하여 수신기에 보내는 감자기로서

    계단 엘리베이터 경사로 복도 설치

    벽 또는 보부터 60cm 이상 이격하여 배기구 근처에 설치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감지기의 종류는 1종 및 2종, 3종으로 구분해요.

    그중 1종 연기감지기 설치는 감지기 부착높이에 따라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으로 할것(부착높이 4m미만: 150, 4m이상~20m미만: 75)

    감지기는 복도 및 통로에 있어 보행거리 30m마다, 계단 및 경사로는 수직거리 15m마다 1개 이상으로 할것.

    천장 또는 반자가 낮은 실내 와 좁은 실내에 있어서 출입구의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것.

    천장 또는 반자부근에 배기구가 있는 경우 그 부근에 설치할것.

    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0.6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할 것.

    1종 연기감지기 설치에 대해 설명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