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세심한테리어2
세심한테리어223.10.29

1940년대 일본이 진주만과 미드웨이를 공략한 이유

일본이 1940년대쯤 한반도 흡수와 중일전쟁 승리를 통해 지속적으로 팽창하는 상황에서 미국의 공습을 결정한 계기는 무엇이엇을까요? 일본입장에서도 중국과 동남아, 한반도 영역확장 는 일본의 사기를 크게 올렷지만 미국이란 존재는 일본군부에서도 알고잇엇을텐데 병력열세인데도 불구 공격하게된 이유를 알아보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전선을 확대하여 인도차이나 반도와 필리핀으로 확장을 해나가는 과정에 미국의 석유금수조치로 어려움에 처하게 되면서 이에 앙갚음으로 일제는 1941년 12월 8일 해군 항공기 360대로 미국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공격하게 됩니다. 미 군함 7척 중 5척이 파괴되고 경순양함 1척 기타 2척이 매몰되었으며 항공기 480여대가 파괴되는 등 큰 피해를 입히게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일본제국주의자들의 종말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고 맙니다. 그동안 중립을 견지하던 미국은 이를 계기로 참전을 선언했으며 독소전쟁에서 밀리던 소련도 적극적 공세로 전환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던 추축국들에게 타격을 안겨주게 됩니다. 이탈리아에 이어 독일이 항복했으며 미국의 참전으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 투하가 결정적으로 무조건 항복선언을 받게 된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2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한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본은 만주를 점령한 몇 년 뒤인 1937년부터 중국과 전쟁을 하고 있었습니다(중일전쟁). 1941년에는 일본과 미국과의 오래된 긴장이 더 고조되었다. 미국과 영국은 일본에 무기 제조에 필요한 고철 수출을 금지했으며, 석유 수출 금지, 미국 내 일본 재산 동결, 일본 선박의 파나마 운하 통과 거부로 중국 내에서의 군사행동을 위축시키고자 했습니다. 1941년 11월 26일의 헐 노트를 마지막으로 외교적 노력은 절정에 다다랐고, 도조 히데키 수상은 자신의 각료들에게 이것이 최후통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석유 봉쇄는 유전이 없어서 대부분의 석유를 미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하던 일본에게 치명적인 위협이었다. 일본의 지도자들은 세 가지의 선택을 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과 영국의 요구에 응하여 중국에서 철수하는 것이었고

    -유류 부족이 군사력 약화를 가져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충돌을 확대하여 동남아시아의 자원 획득을 시도하는 것이었습니다.

    일본의 지도자들은 이 세 가지 중에 마지막을 선택한 셈입니다.

    미국은 일본의 태평양 진출에 걸림돌이되었습니다.

    따라서 일본군은 태평양의 주요 미국 해군 기지였던 진주만을 공격하기로 결정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