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산야촌부100
산야촌부10023.06.08

춘향전같은 고전을 왜 춘향뎐으로 쓰나요?

안녕하세요.


춘향전을 춘향뎐으로 쓰고 기생뎐 혹은 고수전을 고수뎐으로 표기한던데 왜 그런건가요?

아시는 분께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춘향전, 고수전, 기생전의 전은

    한자로 전할전이라고 합니다.

    이 전을

    옛날에는 뎐으로 표기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춘향뎐, 고수뎐, 기생뎐이라고 부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傳( 전할전) 이라는 단어가 예전 에는 " 뎐하다" 라고 발음을 했습니다. 아마도 조선 시대에는 중국어에서온 단어를 최대한 우리말과 비슷하게 발음을 하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즉, 傳 이 단어는 중국어로 "quan" 츄안 이라고 읽고 발음 하는데 조선 시대에는 이 발음에 가장 가까운 발음으로 "ㅈ"이 아닌 "ㄷ"을 선택 해서 "뎐 " 이라고 쓰고 중국 발음인 츄안에 가장 가깝게 발음을 한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던 것이 ㄷ 이 ㅈ으로 바뀌면서 전 으로 표기가 된것으로 보입니다.


  • '전'과 '뎐'은 모두 '전'이라는 한자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전'이나 '뎐'으로 표기하는 것은 해당 작품이나 이야기의 주제나 성격, 혹은 문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전'은 주로 '전'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고전 문학작품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춘향전', '허균 전', '홍길동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주로 중세시대에 작성되었으며, 전통적인 서사시의 형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반면에 '뎐'은 주로 농담이나 풍자적인 성격을 가진 이야기를 가리키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보통 일상생활에서의 재미있거나 흥미로운 사건을 담고 있습니다. '뎐'은 '전'과는 다르게 비교적 새로운 형식의 문체를 가지며, 대화나 대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춘향전'을 '춘향뎐'으로 쓰는 것은 이러한 작품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함일 수 있습니다. 이는 작품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주제, 그리고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이나 정확한 기준은 없으며, 작가나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