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투자해도 망하는 경우가있나요?
장기투자해도 망하는 경우가있나요?
주식이나 코인보면 대부분 장기로보면 거의다 이득인데요 망하는 경우도있나요?
어떤경우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렌버핏이며 유명한 투자자들이 좋은 기업을 사서 장기투자하라라고 합니다.
그러나 잘못된 선택을 해서 그 회사가 망해서 투자자산이 산산조각이 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충분히 그 회사나, 코인을 공부해서 투자를 하셔야합니다.
장기투자를 위해서는 개인 종목보다 ETF가 더 좋아보이며, 코인의 경우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정도가 가장 안정적입니다.
주식, 코인 둘다 결국 시총이 높고 전망이 좋은 곳에 오래 장기로 투자를 하셔야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적립식 장기투자가 증시나 코인투자에 그나마 안전한 투자긴 합니다
지수추종이나 비트코인 장기투자도 망하는 경우는 당연히 있긴 합니다 08년 금융위기 같은 상황이나 비트코인의 경우 장기추세 하락으로 진입하면 결국 장기투자도 어느정도 장기투자냐 에 따라서 성과가 틀려질거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도 망할 수 있으며, 실패하는 주요 원인은 기업의 경쟁력 저하, 산업 구조 변화 무시, 재무 악화, 경영진 리스크, 그리고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때문입니다. 따라서 장기투자라 해도 지속적 점검과 리밸런싱, 손절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로 망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코인만보더라도 이더리움이나 리플 비트코인이나 바이낸스코인 제외시 장기투자할경우 장기하락으로 손실만 누적되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기업도 아무기업이나 장기투자가 먹히는게 아니라 산업이 붕괴되거나 구조적으로 매출이 하락하거나 역성장하는 기업은 주가가 장기하락으로 이어지거나 또는 장기 사이클로 10년간 하락하고 다시 구조적으로 사이클이 반등하는형태로 진입하면서 10년동안 손실 상태로 누적되어 기회비용측면에서 손해보는 경우도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도 투자한 기업이 경쟁려글 잃고 쇠퇴하거나 파산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실패합니다. 특히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예측하지 못하고 장기간 동일한 종목에만 고집하거나, 배임/횡령 등의 도덕적 해이에 취약한 기업을 선택하면 주식 가치가 휴지 조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투자는 지속적인 기업 분석과 점검을 전제로 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명 평가당연히 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식으로 치면 상폐가 되던가 코인 역시 잡코인 같은 경우는 거래소에서 상폐 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물론 대형주 위주 투자라면 가능성은 적겠지만 역시나 시점의 문제이고 초장기로 봤을때 수익이더라도 수년간 마이너스를 거듭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장기투자라도 주기적으로 포트를 점검해주고 시장 상황에 맞는 대응은 언제나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장기투자로 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망하는 경우는 투자한 자산 자체가 가치를 상실하거나 소멸할 때 발생하는데요, 예를 들어 사업 모델이 시대에 뒤떨어져 파산하는 기업인 경우 입니다.(니콜라 사례처럼 유망해 보였으나 실패한 기업)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경우 장기 투자를 권하고 있으나 모든 종목이 다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투자한 기업이 파산하거나 관련 산업이 도태되는 경우 상장폐지나 가치 하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결국 종목 선택의 문제로 보입니다. 아무리 장기 투자를 해도 성장성과 확장성이 미흡한 코인과 주식은 장기간 매집하여 보유해도 수익을 내기 어렵습니다. 투자가 입장에서는 참 어려운 결정이긴 한데 결국 시장에서 각광 받고 펀드나 장기 보유를 목적으로 하는 투자가들이 매집하는 우량 주식과 코인 위주로 중장기 투자를 해야 원금 훼손을 최대한 막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장기투자를 하여도 망하기도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장기간 투자를 하더라도 무조건 수익을 보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기에 결국 적당한 타이밍을 보고 늘 결정을 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