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로마나 중세시대에 키프로스라는 섬국가는 어떤 국가였나요?

지금도 키프로스라는 섬국가는 다소 동떨어져있긴 하나 유로에 속해잇는데요 그렇다면 로마나 중세시대에 키프로라는 섬국가는 어떤 국가엿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로마와 중세 시대의 키프로스는 전략적 위치 덕분에 여러 제국과 세력의 지배에 있었습니다. 로마시대 기원전 58년 키프로스는 로마에 속주가 되었습니다. 395년 로마 분열 이후 동로마 제국의 영역에 포함되었습니다.

    1191년 십자군 원정 중 영국의 리처드 1세가 섬을 점령한 뒤 곧바로 프랑크계 루시냐 왕조가 키프로스 왕국을 세워 중세 유럽 봉건 체제가 한동안 지배했습니다. 이후 1489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식민지, 1571년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어 터키계 인구와 이슬람 문확 유입되는 커다른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로마 시대와 중세 시대에 키프로스는 오늘날의 독립된 섬국가 개념보다는, 지중해 동부의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지며 여러 제국의 통치를 받은 지역이었습니다.

    이 섬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종교적, 정치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기원전 58년, 키프로스는 이집트를 지배하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로부터 로마 공화정에 의해 병합되면서 로마의 속주가 되었습니다. 이후 로마 제국의 정식 속주로 편입되어 관리되었고, 도시와 항구가 발전하면서 지중해 무역과 군사 전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됩니다.

    이 시기 초기에 기독교가 전파되었고, 신약성경에는 바울과 바나바가 키프로스를 방문한 기록도 남아 있습니다. 바나바는 키프로스 태생으로, 이 섬은 기독교 전파의 초기 거점 중 하나였습니다.

    서기 4세기 이후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되면서 키프로스는 동로마 제국, 즉 비잔틴 제국의 지배 아래에 들어갔습니다.

    이 시기 키프로스는 비잔틴 문화와 그리스 정교회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키프로스 교회는 독자적인 권한을 갖는 교회로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7세기부터 이슬람 세력, 특히 우마이야 왕조의 공격을 받기 시작했고, 결국 동로마 제국과 우마이야 왕조가 키프로스를 공동으로 통치하는 체제를 이루게 됩니다. 이 공동통치 체제는 몇 세기 동안 유지되며, 섬은 정교회와 이슬람 양측의 영향 아래에 놓였습니다.

    중세 후반으로 들어서면서 키프로스는 다시 한 번 큰 변화를 겪습니다. 1191년, 제3차 십자군 원정 중 영국의 리처드 1세가 키프로스를 점령하고, 이듬해 프랑스계 귀족 기 드 루시냥에게 이 섬을 넘기면서 ‘키프로스 왕국’이 수립됩니다.

    이 왕국은 십자군 귀족들이 다스리는 라틴계 왕국이었으며, 프랑스의 봉건제와 가톨릭 문화가 이식되었습니다. 그러나 섬 주민 대부분은 여전히 그리스계 동방정교회 신자였기 때문에 종교적 긴장도 존재했습니다.

    루시냥 왕조가 세운 키프로스 왕국은 십자군 국가들의 몰락 이후에도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존속하였으며, 특히 예루살렘 왕국이 몰락한 뒤에는 십자군 세력의 대체 거점이 되었습니다.

    이 왕국은 1489년까지 이어졌으며, 마지막 여왕이었던 카타리나 코르나로가 베네치아 공화국에 섬의 통치권을 양도하면서 중세 시대의 독립 왕국으로서의 키프로스는 막을 내렸습니다.

    이후 키프로스는 베네치아의 상업적·군사적 요충지로 변모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