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무한공황 항공기 사고의 원인이 철새 때문이라고 하는데 항공기 엔진에 새가 들어가면 그렇게 위험한가요!!! 일반인이 알수 있도록 쉽게 위험정도에 대하여 상세히 알려주세요. 넘 무섭넹
항공기 사고가 너무 무섭네요. 이번 무한공황에서 대형 참사가 발생 했네요. 원인이 철새가 엔진에 들어가서 라고 하는데 예방대책은 없는지 궁금 하네여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항공기 엔진에 새가 들어가는 사고는 '조류충돌'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매우 위험합니다. 새가 엔진에들어가면 엔진의 회전이 방해받아 성능저하나 비상 착륙이 필요할 수있습니다. 특히 대형 새일수록 피해가 심각합니다. 예방 대책으로는 공항 주변에서 조류를 퇴치하는 방법,비행전 조류 감시, 그리고 엔진 설계 개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를 통해 사고를 최소화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공항 환경 관리
활주로 주변의 조류 서식지 제거
풀밭이나 물웅덩이 등 새들이 모일 수 있는 환경 정비
조류 퇴치 장치 설치
음향 퇴치기와 레이저 장치를 이용해 새들을 쫒아내기
조류 탐지 및 퇴치 장치 설치
비행 경로 조정
조류 활동이 활발한 시간대를 피해 운항
'조류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안전한 항로 선택
첨단 기술 활용
조류 감지 레이더를 사용해 조류 무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
파일럿에게 조류 위치 정보 제공 및 경고
인력 배치
야생동물통제대 운영
공포탄이나 실탄을 사용해 조류를 쪽아내는 활동 수행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공항과 항공사의 지속적인 조류 충돌 위험 관리
정기적인 환경경영평가 실시 및 대책 수립
안녕하세요. 김민선 전문가입니다.
항공기 엔진에 새가 들어가는 버드 스트라이크는 정말 위험할 수 있습니다. 엔진에 새가 들어가면 엔진 내부 부품이 손상되어 엔진 출력이 감소하거나 엔진이 완전히 멈출 수 있습니다. 특히 이 문제가 착륙이나 이륙 중에 발생하면 매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항공기 엔진은 버드 스트라이크에 대비한 설계가 되어 있어, 일부 새는 엔진에 들어가더라도 엔진을 완전히 멈추게 하지는 않지만, 충격이 크면 엔진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항은 조류 퇴치 시스템을 운영하고, 항공사들은 파일럿 훈련과 조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100% 예방은 어렵기 때문에 여전히 위험 요소로 간주됩니다. 그리고 최근 버드 스트라이크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문제가 있다고는 합니다. 하지만 지난 683건의 버드스트라이크에서는 이런 피해가 없었다고 합니다. 이번 사고가 여러 의문점이 남을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이번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항공기 사고는 조류 충돌 즉, 버드 스트라이크 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사고는 항공기가 이륙과 착륙 과정에서 철새와 충돌하여 엔진에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무한국제공항 주변은 논과 습지가 많아 조류 활동이 활발한 편이며,
기후 변화로 인해 철새의 이동 경로와 패턴이 변화 하는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는 조류가 엔진으로 들어가 유압장치에 손상을 일으켜, 랜딩기어가 제대로 작동 되지않은 경우 입니다.
관련 예방 대책으로는 공항 주변에 조류 퇴치 시스템을 설치하여 조류가 접근하지 않도록 유도합니다.
또한 공항 주변의 환경을 조류가 서식하기 어려운 조건을 만들수 있습니다.
이는 물고기나 곤충이 풍부한 습지를 줄이거나 농경지와의 거리를 멀리두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외 기술적 개선으로 항공기 엔진과 구조물의 설계를 개선 조류 충돌시 피해를 최소화 할수 있는
기술 발전이 필요 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