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아주존중받는토끼
아주존중받는토끼

A형 B형을 섞으면 응집이 되나요??

제가 오늘 동아리 시간에 혈액형 판정 시험을 했는데요 A응집원은 알파 응집소와 반응하고 B응집원은 베타 응집소와 반응하잖아요. 그럼 A형과 B형을 섞으면은 응집이 되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A형 혈액에는 적혈구에 A응집원과 혈장에 베타응집소가,

    B형 혈액에는 적혈구에 B응집원과 혈장에 알파응집소가 있습니다.

    둘을 섞으면 A형 혈장의 베타 응집소가 B형 적혈구의 B응집원과 반응하고,

    B형 혈장의 알파 응집소가 A형 적혈구의 A응집원가 반응해서

    혈액에 응집반응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A형과 B형은 서로 수혈할 수 없습니다.

  • 응집 반응은 항원과 항체가 결합하여 적혈구가 뭉치는 현상입니다. 이는 항원과 항체의 특이적 결합에 의해 발생합니다. A형 혈액의 적혈구에 있는 A 응집원이 B형 혈액의 혈장에 있는 알파 응집소와 반응하여 응집을 일으킵니다. B형 혈액의 적혈구에 있는 B 응집원이 A형 혈액의 혈장에 있는 베타 응집소와 반응하여 응집을 일으킵니다.

  • 혈액에는 적혈구 표면에 항원이라고 불릴 이유는 응집원이 있습니다

    이 응집원이 혈장의 응집소인 항체와 결합하게 되면 응집을 하게 됩니다.

    응집이 한 a 혈청에서 일어나게 되면 a형입니다 즉 a형 혈액형을 가진 사람은 적혈구 표면에 a형 항원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a형 항원을 가지고 있는 a형 혈액형은 A 항체가 있지 않고 B 항체가 있습니다.

    a형 혈액형과 b형 혈액형을 섞게 되면 각 혈액형에 있는 상대방의 형체가 적혈구 표면에는 항공과 결합을 해서 응집을 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A형 혈액형이 있는 사람은 항 B항체가 있기 때문에 B 혈액형의 피를 파괴하고 응집시킵니다. 감사합니다.

  • ABO식 혈액형과 관하여 응집원(항원)은 적혈구 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며, 응집소(항체)는 혈장에 존재합니다. 응집원은 크게 A와 B로 두 종류가 있으며, 응집소는 α와 β 두 종류입니다. A형은 응집원A와 응집소β를 / B형은 응집원B와 응집소α/ AB형은 응집원A, B와 응집소는 가지고 있지 않으며/ O형은 응집원은 없고 응집소α와 β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A형과 B형을 섞으면 각각의 응집원과 서로 다른 혈액형의 응집소가 만나서 응집반응을 일으킵니다.

  • 안녕하세요, 백찬양 전문가입니다.

    네 A형과 B형을 같이 섞으면 응집이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헌혈시 같으 혈액형끼리만 가능한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A형 혈액과 B형 혈액을 섞으면 응집이 일어나게 됩니다.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A형의 혈액에는 베타 응집소가 있고, B형의 혈액에는 알파 응집소가 있기 때문에 A형혈액과 B형혈액이 섞이게 되면 응집이 일어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