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검사상 혈뇨 양성 반응이 있다면 추가 검사가 필요할까요?
최근 어머니께서 건강 검진을 받으셨는데 결과지를 받아보니 소변검사상 혈뇨 양성 반응과 현미경적 혈뇨 소견이 있다는 결과지를 받았습니다. 어머니께서 평소 혈노를 보신 적이 없다고 추가 검사가 안 필요하다고 버티시는데 눈에 보이지 읺는 혈뇨 양성 반응에 대해 추가 검사 필수겠지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
방광에서부터 콩팥에 걸쳐서 어느 한 부분에 대해서 염증이 있으면 현미경 혈뇨가 나올 수 있습니다. 단순 방광염일 경우에도, 그리고 체질적으로 아침에 소변을 보면 혈뇨가 나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다만 지속적으로 나올 경우에는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가 있습니다. 아무런 증상이 없다고 하더라도 혈뇨가 만성적으로 나오는지 확인 하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혈뇨의 경우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검사를 해서 진성혈뇨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재검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혈뇨가 확인이 되면 그 때는 원인을 찾기 위하여 여러가지 검사를 해야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건 상당히 중요한 것인데 건강검진을 하는 이유는 당장 질환을 발견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추적검사 혹은 진료를 보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분처럼 검사결과가 이상할 때 추가적인 검사를 받으시는 것은 싫어하시는 경우에는 건강검진을 아예 받지 않으시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에서 혈뇨 양성 반응이 보이며 현미경적으로도 혈뇨가 있다면 추가적인 검진이 필요하겠습니다. 70대 이상의 연령대라면 생리와 관련된 소견은 아닐 가능성이 높으며 아무래도 혈뇨의 경우 신장 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소견인 만큼 괜찮겠거니 하고 넘어가기에는 위험 부담이 따릅니다. 진료 및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