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3.08

땅을 계속 파서 들어가면 지열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이를 이용한 발전은 어느 수준까지 와 있나요?

땅을 계속 파면 지열이 발생한다고 들었습니다. 이를 이용한 발전을 지열 발전이라고 한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지열 발전은 어느 수준까지 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보급목표량의 22%를 지열발전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하네요.


    하지만 지열발전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화산지대가 적은 우리나라 특성상 기술개발 수준이 미흡한 실정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열 발전은 지하에 저장된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으로, 이미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지열 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에서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과 투자 증가로 인해 지열 발전은 점점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더 많은 국가에서 지열 발전을 통해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열발전은 현재 전세계 37개 위치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에 40%가 존재한다고 합니다.

    지열발전은 난방 시 50~70% 냉방 시 20~40%정도로 에너지 효율이 좋은편이라고 합니다.

    땅으로부터 온수를 만들어내고 이 온수를 공급하는 형태로 발전시키는것이 가장 효율이 좋고 쉬운 고전적인 방법이라고 하고

    물을끓여 증기로 만들고 발전터빈을 돌리게끔하는 방식도 존재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열에너지란?

    지구가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지칭합니다. 지열에너지의 근원은 지구 내부에서 방사성 동위원소 의 붕괴열(83%)와 지구 내부 물질에서 열의 방출(17%)로 이루어지며, 지표에서 느껴지는 지열 의 약 40%는 지각에서 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앞서 지열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표층 지열과 심층 지열로 나누어 설명했는데요. 지열에너지의 이 용 또한 심층 지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표층 지열을 이용하는 방법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 선 심층 지열의 이용부터 설명 드리겠습니다.

    심층지열이란?

    지표면으로부터 2~3km 깊이에서 250도의 높은 열을 이용하여 직접 전력생산에 이용하는데 이 런 지열 발전은 1980년 이후 연간 10%이상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이슬란드는 전 체 전력의 26%를 필리핀은 20%를 지열발전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비화산지대 국 가로서 지열발전을 활용하려면 지하 3~5km 이상 깊이에서 150도 이상의 열수를 얻어 전력생산 에 활용하는 EGS방식을 이용합니다.

    표층지열이란?

    전 세계 지열 설비용량의 약 70%에 해당하는 35GW가 지열원 열펌프로 냉난방 시스템을 가동하 는 설비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계절의 기온 차 때문에 표층지열을 여름철에는 냉방, 겨울철에 는 난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지열 이용 시스템이 2000년에 최초로 도입된 후 현 재 학교, 레스토랑 등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출처 :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신재생에너지 지열에너지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땅을 계속 파면 지열이 발생한다는 것은 맞습니다. 이를 이용한 발전을 지열 발전이라고 합니다. 지열 발전은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지구 내부의 열이 지속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지열 발전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발전량도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이슬란드는 지열 발전을 주력 산업으로 삼고 있으며 전체 전력 생산의 약 25%를 지열 발전으로 이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열 발전은 아직까지는 전 세계적으로 전력 생산의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이는 지열 발전 시설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지열 발전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지역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발전량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내부의 열은 무한히 생성되기 때문에 지열 발전은 미래에 더 많은 전력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지열 발전 시설의 비용이 점점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국가에서 지열 발전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으로 지열 발전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땅 속 깊은 곳은 온도가 높아지고, 이를 이용한 발전이 바로 지열 발전입니다. 2023년 7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16,127MW의 지열 발전 용량이 37개국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약 1%에 해당합니다. 미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멕시코 등이 주요 생산 국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지열 발전의 현황 및 전망

    지열 발전은 지구 내부의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적인 발전 방식입니다. 화석 연료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인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전 세계 지열 발전 설비 용량은 약 16GWp(기가와트 피크)에 달합니다. 이는 전체 발전 설비 용량의 약 0.3%에 불과하지만, 매년 약 5%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지열 발전이 가장 활발한 국가는 미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멕시코, 이탈리아, 일본, 뉴질랜드 등입니다. 특히 아이슬란드는 전력 소비량의 약 25%를 지열 발전으로 공급하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열 발전


    비율을


    자랑합니다.



    지열 발전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온실 가스 배출량이 적습니다.





    날씨나 시간대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지구 내부의 열은 무한한 자원입니다.





    발전뿐만 아니라 난방, 온수 공급, 농업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지열 발전은 다음과


    같은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초기 투자 비용이 높습니다.

    발전 가능 지역이 제한적입니다.





    지열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황 가스 등의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술 발전과 정책 지원에 힘입어 지열 발전은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상된 탐사 기술, 혁신적인 발전 방식, 정부의 지원 정책 등이 지열 발전의 미래를 밝게 비추고 있습니다.



    지열 발전의 미래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지열 발전 설비 용량은 약 100GWp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새로운 기술 개발과 정책 지원을 통해 지열 발전의 경제성이 더욱 향상될 것입니다.





    지열 발전은 기후 변화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열 발전은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미래 에너지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열발전은 포항지진으로 인해 안전성 확보가 우선시 되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20메가와트급 되는 지역발전소를 전국에 대략 10개정도 건설예정이었지만 연기가 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