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이 상용화되기까지 어떤 것들이 남아있을까요?
자율주행 기술 개발 및 상용화되기까지 어떤 것들이 남아있을까요?
예를 들어 기술적인 부분, 도덕적인 부분, 사고 났을 경우 누구의 책임을 할지, 등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자율주행의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여러가지가과제가있습니다.
기술적 문제 : 센서의 정확성, 데이터 처리 속도, 극한 환경에서의 신뢰성 등 기술적 개선이 필요합니다. 특히,다양한 도로 상황에서의 인공지능의 판단 능력을 향상시켜야합니다.
도덕적문제 : 자율주행차가 사고를 피할수없는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에 대한 윤리적 결정이필요합니다. 예를들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 기준을 설정해야합니다.
법적책임 : 사고 발생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제조사, 소프트웨어 개발자,차량 소유자 간의 책임 분배에 대한 법적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것이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필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우선 센서기술이 조금 더 개발되어야합니다. 이 센서로 부터 받은 정보를 차량은 빅데이터기반으로 올바른 판단을해야되죠.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한 과제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기술적 과제
완전 자율주행 레벨 5 기술에 도달해야 합니다.
지능형교통시스템 인프라 구축이 되야 합니다.
사이버 보안 강화
윤리적 과제
자율주행차 윤리 알고리즘 개발 필요
트롤리 딜레마 등 윤리적 판단 기준 마련
법적 과제
도로교통법, 보험법 등 관련 법규 개정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 명확화
사회적 과제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대중의 신뢰와 수용도 향상
윤리적 판단 기준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
결과적으로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기술 개발 뿐만아니라 윤리나 법률 사회적 측며넹서 종합적 준비와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이 필요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질문처럼 자율주행의 가장 큰 이슈이자 상용화·실용화의 걸림돌이되고 있는 것은 바로 책임의 문제입니다.
제조사의 형사책임은 자동차산업에 강한 부담을 주기때문에 상용화·실용화가 늦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자율주행 실현에는 표준과 법규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