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영양제 이미지
영양제약·영양제
영양제 이미지
영양제약·영양제
훈훈한관수리235
훈훈한관수리23521.09.03

유통기한 지난 영양제 먹어도 되나요?

섭취기한은 얼마정도 될까요?

한번도 안뜯은 미개봉 영양제 입니다ㅠㅠ

버리기 너무 아까운데 섭취 가능할까요?ㅠㅠㅠㅠㅠㅠㅠ

아니면 그냥 버려야 하나요?

폐기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제품은 약물의 반감기에 따라 약효가 감소하고 변질의 우려가 있기에 복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약의 경우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 예방을 위해서 처리과정이 따로 필요합니다. 폐의약품은 근처약국이나 약국에서 회수처리가 어려운 제품은 보건소로 문의주시면 됩니다.

    유효기간이 지난 물약이 팩포장인 경우 포장 그대로 가져오시면 되고 소분된 물약의 경우는 한병에 모아서 가져오시면 됩니다. 알약은 경우는 포장제를 모두 제거하시고 까서 내용물만 한군데 모아서 가져와주시면 됩니다. 바르는 외용제는 기한이 지난 제품의 경우 남은 그대로 가져오시면 회수 처리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알약 통을 원통으로 받았을 시

    (개봉 시점부터 1년이내)

    2. 알약 원통을 다른약통에 수량만큼 덜어서 담아준 알약의 경우

    (6개월 이내)

    3. 원래 포장이 PTP, 블리스타 낱개 포장인 경우

    (유효기간까지 사용가능)

    4. 원래의 시럽제(물약)을 원통 그대로 받으신 경우

    (개봉후 28일 이내)

    5. 한가지 시럽제를 작은 투약병에 용량을 맞춰 덜어서 조제해준경우

    (14~28일 이내)

    6. 투약병에 두가지 이상의 시럽제를 혼합해서 조제해 준 경우

    (14일 이내)

    7. 건조시럽제(가루형태, 주로 항생제)를 물에 타서 물약을 만든경우

    (14일 이내)

    (하지만 항생제마다 물을 타고나서부터 유효기간이 줄어드는데, 종류마다 다르다 7일인 것도 있음)

    (오구멘틴시럽은 냉장보관으로 7일까지, 포리부틴드라이시럽은 상온에서 15일까지)

    8. 알약을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60일 이내)

    9. 원래의 튜브형 용기에 담겨진 연고류를 그대로 받으면

    (6개월 이내, 뚜껑 잘닫아야함)

    10. 연고류를 조제용 연고곽에 덜어서 담아준 경우

    (30일 이내)

    11. 알약을 갈아서 가루약으로 약포지에 조제해준 경우

    (30일이내, but 가루약 종류에 따라 훨씬 짧아질 수 도 있다)

    12. 멸균제품인 안약, 안연고

    (개봉 후 28일 이내, 보존제 함유한 멸균제품에 해당함)

    13. 1회용 사용안약은 보존제가 없으므로 사용후 바로 폐기

    14. IV(정맥주사), 주사제, bag 은 개봉후 1시간 내에 투여해야한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한상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문의 하신 영양제가 어떤 성분, 어떤 제형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다 명확히 답변 드릴 수는 없겠으나,

    유통기한의 경우 약품의 최상의 품질을 보증 할 수 있는 품질보증 기한과는 다릅니다.

    아직 개봉 하지 않으신 상태이고 외관상 파손이나, 냄새, 색깔의 변화가 없는 상태라면 복용하셔도 가능하시며,

    개봉한 뒤라면, 제형과 포장의 형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겠습니다.

    개별적으로 알루미늄포장이 되어있는 경우, 제형이 액상의 연질 캡슐이 아닌 단단한 타블렛의 경우 보다 안정성이 높은 편입니다.

    반대로, 벌크한 통에 들어있는 경우이거나, 산패하기 쉬운 기름성분이 함유되어있는 경우에는 보다 안정성이 떨어져 함량의 소실이 있거나, 다른 부가적인 물질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먹을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이 되시거나, 의약품 폐기를 하셔야 할 경우엔 근처 약국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최성모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났다면 복용하시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영양제의 효능이나 안전성 측면에서 보장을 할 수가 없고 버리실 때 건강기능식품으로 분류된다면 그냥 일반 음식물쓰레기로 버리시면 되고 간혹 지역보건소에서 수합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들은거 같긴한데 지역보건소에도 한번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원래 약통에 적혀있는 유통기한은 뜯지 않았을때를 기준으로 하여 품질이 보증되는 기한입니다.

    뜯지 않았더라도 기한이 지났다면 약효가 떨어지거나 성분이 변질될 수 있으므로 버리시는게 좋습니다.

    괜찮을 수도 있지만 건강을 두고 도박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약을 버리실때는 약국에 가져다 주시거나 혹은 보건소나 행정복지센터에 있느 의약품수거함에 버리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정승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나셨다면 약을 복용하지마시고 폐기하시는게 좋습니다.

    약의 유통기한은 약이 제대로 효능을 낼 수 있는 기간을 정한 것이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지난 약을 복용하신다면 제대로 효능이 나타나지 않을 뿐더러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봉하신 약인 경우 공기 중의 산소와 수분에 노출되어 유통기한보다 빨리 변질됐으니 주의해주시길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배주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효기간 내에 효과 및 안전성이 있는것을 확인였기 때문에

    가급적 유효기간 내에 관리하시고,

    유효기간이 지났다면 그냥 폐기하시는것이 바람직합니다.

    유효기간이 지나게 되면, 기대할수있는 효과도 떨어질뿐아니라,

    유해성분의 증가로 인해 득보다는 해가 더 클 수 있으니

    유효기간 관리는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의약품 폐기는 약국에서 하실수 있습니다.

    약국은 의약품 폐기사업을 통해,

    폐의약품을 모아서 보건소에 전달하고,

    보건소는 폐기하고있습니다.

    근처 가까운 약국에 방문하셔서 의약품은 폐기하시기 바랍니다. :)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가능하면 폐기하는게 좋습니다.

    영양제의 경우 유효기간이 지나게 되면 성분이 변질되어 효과가 없어지고, 변질된 성분에 의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깝더라도 폐기하시고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는게 좋습니다. 일반의약품은 약국에 방문하여 폐기하시면 되고 건강기능식품은 일반쓰레기에 폐기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전인배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유통기한이 지난의약품의 경우 효능이나 안정성 면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약이 아까우시더라도 폐의약품으로 처리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폐의약품의 경우 가까운 보건소나 약국에서 받기 때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