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 부분에서 점유율이 삼성전자를 이긴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제가 알기로는 작년까지만 해도 삼성전자의 메모리 점유율이 SK 하이닉스보다
높다고 알고 있었는데요 그런데 얼마전에 하이닉스 점유율은 더 높아졌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메모리 업계 얘기는 워낙 빨리 판이 바뀌다 보니 헷갈리기 쉽습니다. 삼성은 여전히 전체 시장에서 1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D램이나 낸드 같은 세부 분야에서 분기별로는 하이닉스가 앞서는 장면이 나왔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하이닉스가 초격차로 밀고 있는 HBM이라는 고대역폭 메모리 덕분입니다. 엔비디아 같은 AI 수요가 폭발하면서 HBM 시장이 급격히 커졌고, 이쪽에서 하이닉스 점유율이 압도적이라 전체 점유율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은 아직 HBM 양산이 뒤처져 있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는 꾸준히 D렘을 업그레이드 하는 것에 집중한 반면
SK하이닉스는 HBM기술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결과적으로 HBM은 D렘을 쌓는 기술이기 때문에 AI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앞지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전자를 이긴것은 반도체의 신기술에 대한 투자나 연구를 선행적으로 한것덕분입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이전의 대표 반도체 모델을 판매하던시기였고, 그때는 삼성전자의 실적이 매우 우수했고 하이닉스능 그때의 현실을 인정하고 다음모델 개발을 위해 큰 노력한것이 다음 메모리 반도체 제품이 대세가 된것입니다.
언자든 사람들은 미래를 대비해 노력을 꾸준히 해야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HBM때문입니다 수량자체나 전체 캐파는 삼성전자가 하이닉스가 높습니다 그런데 사실상 HBM의 시장점유율 절반이 넘게 시장의 대다수를 하이닉스가 차지하고 있고 HBM3E이상의 12단 이상에서는 하이닉스가 사실상 독주를 하고 있고 이 HBM의 가격은 일반 메모리 반도체보다 몇배 혹은 10배이상 훨씬 높은 단가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전체 매출액기준으로 삼성전자를 매출액기준으로 완전히 압도하는 수준으로 커지게 된것입니다.
즉 전체 HBM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고 삼성전자는 8단이하의 범용급의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에만 공급하고 있으며 12단이상은 엔비디아 퀄테스트도 통과도 못했습니다. 이에 현재 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크게 앞지르고 있는것이며 현재 성장하고 있는쪽도 범용이 아니라 HBM 고대역 메모리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하이닉스 HBM 등 차세대 반도체에서 앞서가면서 엔비디아 등 AI 수요에 맞춘 공급을 늘렸습니다. 반면 삼성전자는 보수적으로 생산라인을 조정하다보니 점유율이 일부 밀린 것입니다. 즉, AI 특화 메모리 선점 효과로 하이닉스가 앞서간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하이닉스가 메모리 반도체 부분에서 삼성전자를 이긴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삼성전자가 HBM 반도체 시장에서 죽을 쑤고 있는 동안
하이닉스는 시장에 HBM 반도체를 공급하였기에
역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SK하이닉스는 2009년부터 HBM 개발에 선제적으로 투자해, 2022년 4세대 HBM3 양산, 2023년 업계 최초 6세대 HBM4 샘플 공급 등에 성공하며 AI·고성능 서버용 반도체 수요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서 HBM 부문에서 70%에 달하는 압도적 점유율을 기록할 수 있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