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영화에 나오는 좀비같은 증상을 보여주는 세균이 따로 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0

영화의 한 장르물에서

좀비물이 있고

최근에도 영화에

좀비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감염은 보통 물려서 직접적으로 감염되던데

이상한 움직임과 더불어

타액을 흘리고 눈동자도 벌게지고

일반적이지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뻣뻣한 동작을 하고 하는데요

실제 감염병원균 중에

좀비같은 증상을 가지게 하는 병원균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우선 아시겠지만 좀비는 실제로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 인간이 살아있고 움직이기 위해서는 심장이 끊임없이 온몸과 뇌를 순환하면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줘야합니다. 좀비들이 영화에서처럼 상처를 입고 피를 아무리 흘려도 죽지않고 살아나는 현상은 실제로는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런 바이러스 역시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물어서 감염이 전파되는 바이러스는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광견병의 경우 rabies virus 의 물림에 의한 전파로 감염됩니다. 근육 강직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외에 연가시같이 곤충의 뇌에 작용해서 구갈을 자극하는 정도의 조종을 하는 현상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광견병 바이러스

    공격성 증가, 행동 변화, 혼란, 환각 등을 유발

    타액을 통해 전파되며 물림으로 감염됨

    치료하지 않으면 거의 항상 치명적

    크로이츠펠트-야콥병 (CJD)

    변형 프리온 단백질에 의한 뇌 질환

    행동 변화, 근육 조절 능력 상실, 치매 증상 유발

    소의 광우병과 유사한 메커니즘

    수면병

    체체파리가 전파하는 기생충에 의한 질병

    혼란, 행동 변화, 수면 장애 등 신경학적 증상 유발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

    라비에스 (Rabies)

    공격성, 혼란, 과도한 타액 분비 등의 증상

    물림을 통해 전파되며 뇌에 영향을 미침

    괴사성 근막염

    일명 "살점을 먹는 박테리아" 감염

    피부와 근육 조직의 빠른 괴사를 유발

    이러한 질병들은 좀비 영화에서 묘사되는 증상과 유사한 면이 있지만, 실제로는 영화에서처럼 극적이거나 광범위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의학적 개입으로 치료나 관리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좀비같은 증상을 유발하는 병원균이나 기생충이 존재하긴 하지만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극단적이고 전염성이 강한 형태는 아닙니다. 비슷한 병원균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광견병 바이러스

    • 감염시 신경계가 손상되어 공격적 행동, 타액의 과다 분비, 근육 경직, 물려는 행동 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

    2) 곰팡이 기생충

    • 주로 개미같은 곤충을 감염시켜서, 곰팡이가 개미를 조종하는 형식입니다. 인간에게는 영향을 주지 않는 기생충입니다.

    3) 톡소플라즈마

    • 주로 쥐나 인간에게 감염됩니다. 쥐에 감염된 경우 쥐가 고양이를 두려워하지 않게 만들어서 고양이에게 잡아먹히게 합니다. 인간은 주로 고양이 배설물로부터 감염됩니다.

    영화에서 나오는 것과 똑같지는 않아도 행동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병원균이 몇 가지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질문자분이 언급하신 좀비 같은 증상을 가진 세균이나 병원균이 있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인데요. 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좀비의 증상들은 급격한 행동 변화, 비정상적인 신체 움직임, 그리고 눈의 변화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감염병원균 중 일부는 이러한 증상들과 비슷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인간에게서 이런 증상을 일으키진 않지만, 진균이나 바이러스 중 몇몇 종류는 동물에 비슷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상풍을 일으키는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라는 세균은 근육 경련과 강직을 유발해 비정상적이고 뻣뻣한 동작을 나타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광견병 바이러스는 중추신경계를 감염시켜 공격성과 침 흘림, 환각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좀비의 모습과 어느 정도 유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영화 속 좀비는 상상력에 기반한 허구적인 존재입니다. 병원균에 의한 실제 증상들은 이처럼 과장되거나 조직적으로 재현되지 않으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시다면 언제든 또 질문해 주세요. 최선을 다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