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길이빛나
길이빛나

임상 실험을 쥐가지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식품이나 약품 사람에게 직접 테스트 하기 전에 쥐로 연구하거나 실험을 하던데 왜 원숭이나 유인원으로 하지 않고 생쥐로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쥐는 인간과 많은 유전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 인간의 질병을 모델링하는 데 유용합니다. 과학자들은 쥐의 유전자를 조작하여 특정 질병의 원인을 연구하거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조작은 상대적으로 쉽고 비용 효율적입니다. 쥐는 표준화된 실험 모델로 널리 사용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연구소 및 기관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서로 비교하고 분석하기가 용이합니다. 쥐를 이용한 실험 방법과 결과는 광범위하게 문서화되어 있어, 새로운 연구에서 참조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정보가 풍부합니다. 쥐는 다양한 인간 질병의 모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 당뇨병, 심장 질환, 신경 퇴행성 질환 등 인간의 다양한 건강 문제를 연구하는 데 쥐를 사용하여 질병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상시험은 의약품 개발 중 사람에게 진행하는 실험입니다.

    임상시험 전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것은 전임상시험이라고 합니다.

    전임상시험은 쥐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동물들이 활용됩니다.

    전임상시험에 활용되는 동물들은 이미 어느정도 실험에 적합하게 모델링이 되어있습니다.

    최근에는 동물실험 전 배양된 세포에 시험하는 단계를 거치기도 합니다.

    영장류 대신 쥐를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비용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침팬치와 오랑우탄이 쥐보다 사람과 유사하겠지만 개체수가 적어 실험허가가 나기 힘들며

    개체당 비용이 매우 비싸고 사육과 관리에 드는 비용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수명이 길고 새끼의 숫자도 적어 실험결과를 얻는데도 오랜시간이 걸립니다.

    쥐는 사육관리가 쉽고 번식력이 강하며 개체간 차이가 크지않아 통계적 유의성 확보에 유리합니다.

    또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쥐(mouse) 이외에 포유류에 속하는 랫(큰쥐 : rat), 기니피그, 토끼, 개, 돼지, 소 등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실험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이 손쉽고 인간과 비슷한 유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쥐는 임신기간이 3주 내외로 짧을 뿐만 아니라 새끼도 한 번에 적게는 5마리에서 많게는 13마리까지도 낳습니다. 많은 실험이 세대를 거듭하며 확인해야 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조건은 짧은 시간에 세대를 거듭하는 실험결과를 얻기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쥐들은 몸이 작기 때문에 사육공간이 작아도 되고 다른 실험동물보다 키우기 쉽고 유지비용도 많이 들지 않습니다.

    게다가 한손에 들고 실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험체의 통제에도 매우 유용합니다.

    가장 큰 이유라면 사람과 유전적으로 약 90%가 일치하기 때문에 인간의 질병과 노화를 연구하는데에 유용하기 때문이죠.

  • 생쥐는 과학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모델 생물 중 하나입니다. 원숭이나 유인원 같은 큰 동물은 유지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윤리적인 문제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 생쥐는 상대적으로 유지 비용이 적고 번식 주기가 짧아서 대규모 실험에 적합합니다. 

    또한, 생쥐의 유전체가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유전자 조작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특정 유전적 조건을 가진 생쥐를 만들어 특정 질병 연구나 약물 효과 등을 조사하기에 용이합니다. 또한, 생쥐의 생리학적인 특성이 인간과 유사한 면이 많아서 결과를 해석하기에도 유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생쥐를 실험동물로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인간 유전자와의 유사성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임상시험에 수천억~수조 원대 비용과 5~10년에 달하는 장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실제 임상시험에 들어갈 만한 물질인지를 먼저 가려야 하기 때문에 실제 임상시험에 들어가기 전에 마우스를 대상으로 사전에 부작용이나 독성을 평가합니다. 또한 생쥐를 실험동물로 많이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간 유전자와의 유사성 때문인데요, 생쥐는 인간처럼 약 3만 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 중 약 80%가 인간의 유전자와 상동성을, 19%는 높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 생쥐는 사람과 같은 척추동물이고, 번식력이 뛰어나며, 세대가 빨리 교체됩니다.

    또한 개체의 크기가 작아 사육이나 통제가 쉽습니다.

    그에 비해 유인원은 인간과 더 유전적으로는 유사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비용적인 측면과 연구를 하는데 있어 번식력도 뛰어난 편이 아니며 세대기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생쥐에 비해 유리한 실험체는 아닙니다.

  • 실험용 생쥐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생쥐는 인간과 유전적으로 유사성이 높고, 짧은 세대 교체 기간과 많은 새끼 수를 가지고 있어 대규모 실험에 적합합니다. 또한 작은 체구로 인해 사육 비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유전적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생쥐에 대한 방대한 선행 연구 자료가 축적되어 있어 결과 해석이 수월합니다. 이처럼 실험 효율성, 경제성, 그리고 선행 연구 기반 등의 이유로 실험용 생쥐가 임상 실험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