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o와 ico의 차이가 정확히 먼가요?
최근에 ieo와 ico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는 글을 보고
둘이 비슷하다는 것만 알고 정확한 개념은 알지 못해서
차이에 대한 글을 봤는데 너무 어렵고 이해하기가 힘들던데
간단하게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기존에 여러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은 자금조달을 위해 ICO를 통해 진행하였습니다. 현재 거래되고 있는 이더리움, 이오스 등등 여러 주요 코인들은 ICO를 통해 등장했지만 ICO의 문제점이 하나 둘 드러나면서 요즘은 IEO를 통한 자금조달의 새로운 방법이 나왔죠. ICO의 가장 큰 문제점은 검증이 어려웠다는 것입니다. 프로젝트의 실체와 경제성 등을 검증할 공식적인 절차가 없어 신일골드코인 사태와 같은 일도 일어나게 되었죠. 이러한 문제를 가진 ICO의 대안으로 나온것이 IEO 입니다.
IEO의 E는 거래소(Exchange)를 의미 합니다. 거래소가 중개인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IEO를 통하게 되면 신뢰성이 담보가 되어 프로젝트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거래소가 책임을 분담하게 되어 거래소는 좀 더 꼼꼼하고 정확하게 프로젝트에 대해서 검토하고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에서 아직 IEO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지 않아 ICO 대신 IEO를 진행하는 형태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죠.
즉 한줄로 정리해본다면 ICO 는 프로젝트와 투자자들 사이에서만 진행되는 자금조달 방식이고 IEO는 프로젝트와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래소가 개입하여 프로젝트의 자금조달도 지원하고 투자자들에게 거래소가 검증한 프로젝트들에 한해 진행되기 때문에 ICO보다 IEO가 안정성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참고로 IEO를 진행하는 거래소의 투자자가 생각하는 신뢰도도 함께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 ^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하는 스타트업기업이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서 ICO를 진행합니다.
ICO는 Initial Coin Offering인데요, 말 그대로 초기 자금 모집입니다.
백서(사업계획서)를 가지고 투자자로부터 펀딩을 하고, 이후에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진행이 되면, 거래소에 상장을 합니다.
(이전에는) 상장을 하였을때 투자자들이 받은 토큰이 크게 가치가 상승하는게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짧은시간에 투자 대비하여 빠른시간에 큰 수익을 얻어서 ICO에서 많은 투자금을 모을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흘러..거품이 많이 빠지고..스캠들도 많아지면서
다양한 방법의 신뢰도 있는 투자금 모집 방법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IEO가 많이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
IEO는 Initial Exchange offering인데요. 이것도 말그대로 초기 투자금을 거래소를 통해서 제공받겠다는 것입니다.
ICO이후에 거래소를 상장못하는 경우도 있고..(이런 경우 투자금에서 원금회수도 어렵죠..)
거래소 상장하더라도 급락하는 경우도 많이 있고..
그래서 거래소에서 대신 투자를 받자..라고 시작한것이 IEO입니다.
거래소가 프로젝트의 신뢰성을 어느정도 보장해주고, IEO를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해당 거래소에서 반드시 상장을 해주는 조건이 있으므로 최소한 거래소를 상장하지 못하는 경우는 없게 되는거죠.(물론 거래소 상장 이후 급락을 막는것까지는 보장해주지는 못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