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2.20

지금 현재 우리나라는 고통지수가 높은 것 같은데 언제 골디락스경제가 올까요?

특히 서민층의 경제적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고

하던데 각자 개인의 경제적 능력이 없는 것을

탓해야 할까요?

생산인구가 감소하고 고령층 인구 증가가 지속될텐데

좋은 대안이 있다고 해도 실효성 있는 결실을

거둘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원달러 환율이 조금이라도 더 떨어지고

    현재 수출도 회복세가 보이는 등 우리나라의 경제도

    어느정도 2024년은 2023년보다 나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골디락스 경제가 오기 위해서는 높은 인플레이션율부터 낮추어야 하지만 부채리스크로 인해서 금리를 제대로 인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율을 낮추기 힘들며 부채리스크라는 폭탄이 한번 터지고 난 후에야 이러한 경제적인 안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보니 PF 대출의 폭탄이 올해 터지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려우나 미래가 암담한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서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니 10년안에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소된다면 긍정적으로 변화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