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의 비핵심 다수가 20%의 핵심 소수보다 높은 가치를 창출한다는 롱테일 법칙에 대해서
위 질문 제목이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 2004년 미국의 잡지사 편집장인 크리스 앤더슨이 처음으로 상품을 예로 들었던데 상품 진열을 가지고 어떻게 80%의 비핵심 다수가 20%의 핵심 소수보다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지 잘 이해가 안되니 구체적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롱테일 법칙이라고 하는 것은 20%의 상품군이 전체 매출의 80%이상을 차지하고 20%의 충성고객이 총 매출의 80%를 차지한다는 것을 말하는데, 아마도 질문자님께서 해당 법칙에 대해서 잘못 이해를 하고 계신 것으로 보이세요
파레토 법칙이 롱테일법칙이라고 불리게 된것은 기업이 판매하는 상품을 많이 팔렸던 순서대로 가로축에 늘어놓고, 각각의 판매량을 세로축에 표시하여 선으로 연결하면 많이 팔리는 상품들을 연결한 선은 급경사를 이루며 짧게 이어지지만 적게 팔리는 상품들을 연결한 선은 '긴꼬리'처럼 낮지만 길게 이어지게 되는데, 여기서 꼬리 부분에 해당하는 상품들의 총 판매량이 많이 팔리는 인기 상품의 총 판매량을 압도한다고 해서 롱테일법칙이라고 부르게 되었던 것이에요
✅️ 일종의 '집단 지성'이 옳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법칙이 롱테일의 법칙인데, 예를 들어 어떤 문제(퀴즈)가 나왔을 경우 아무래도 2명보다는 8명이 선택한 답이 맞을 가능성이 더 높고 실제로 그런 사실이 대표적 예시라 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소수의 20%가 구입하는 물건들보다 80% 이상의 다수가 구입하는 물건이 더 잘 팔리고 할 수 있는 것이 높은 경제적 가치를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소수의 부유층은 천연세제 등을 사용할 것이나 대다수의 일반 국민은 락스와 같은 전통세제를 사용하고 전통세제인 락스 등의 매출이 천연세제보다 훨씬 더 크다면 이것을 롱테일 법칙의 일종으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질문하신 롱테일 법칙에 대한 내용입니다.
롱테일 법칙은 질문하신대로 주목받지 못한 다수가 핵심적인 소수보다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으로 역파레토법칙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온라인 서점인 아마존의 등장으로 오프라인 서점에선 진열되지 못했을 서적들의 매출이 높은 것에서 사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상품 판매 방식에서 주류 시장, 즉 20% 인기 상품에 집중되어있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과 같은 새로 유통채널이 등장하면서 기존에 소외 받던 수많은 틈새시장이 발굴되며 다양한 상품들도 판매가 가능해졌습니다.
물론 이 비주류 상품들이 하나하나보면 작은 수요를 가지지만, 그 종류가 매우 많기 떄문에 전체적으로보면 주류 상품 수요를 넘어서는 '긴 꼬리' 부분을 형성합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의 경우 주류 베스트셀러 도서 20%가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지만, 나머지 80%의 비인기 도서들이 모였을 떄 전체 매출의 나머지 20%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입니다.
크리스 앤더슨은 이렇게 무수히 많은 틈새 시장을 잡을 수 있다면 전체적으로 주류 시장보다 더 큰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롱테일 현상은 파레토 법칙을 그래프에 나타냈을 때 꼬리처럼 긴 부분을 형성하는 80%의 부분을 일컫습니다. 파레토 법칙에 의한 80:20의 집중현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에서는 발생확률 혹은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이 무시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과 새로운 물류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 부분도 경제적으로 의미가 있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를 롱테일이라고 합니다. 이는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며 양의 X축으로 길게 뻗어나가는 그래프의 모습에서 나온 말이다. 2004년 와이어드지 20월호에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되었으며 이후 책으로 나와 베스트 셀러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분포를 보여주는 통계학적 예로는 부의 분포, 단어의 사용빈도 등이 있으며 크리스 앤더슨에 의해 소개된 롱테일부분을 경제적으로 잘 활용한 사례로는 아마존의 다양한 서적 판매 사례 등이 있습니다. 롱테일을 이용한 비즈니스 모델로 광고업계에서는 구글 애드센스(AdSense)가 있다. 텔레비전이나 신문과 같은 대형매체들은 대형 광고주 위주의 광고시장이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광고주들은 소외되어 왔으며 또한 작은 규모의 매체 또한 소외되어왔다. 그러나 구글 애드센스는 이러한 작은 규모의 매체인 웹페이지들로 하여금 저렴한 광고 기회를 제공하였고 결국 "티끌 모아 태산"식으로 구글 전체 매출의 50%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이렇듯 구글 에드센스의 경우 적은 수요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롱테일 부분의 매출 기여가 50%를 넘어섰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 성과가 되었으며 소규모 광고주와 소규모 광고업을 하는 사람들이 연결된 새로운 광고시장을 창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