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기분좋은날
기분좋은날23.03.18

비둘기가 유해조류가 된 걸까요

도시에서 많이 보이는 비둘기는 유해조류로 되어 있는데 왜 그렇게 된 걸까요? 그리고, 비둘기 외에 다른 새도 유해조류로 지정된 사례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스타박스입니다.

    2009년 우리나라에서는 개체 수가 너무 많고 분변이나 털날림 등으로 종종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이유로 집비둘기가 유해조류로 지정되었습니다.


    그 외에 장기간에 걸쳐 무리를 지어 농작물 또는 과수에 피해를 주는 참새, 까치, 어치, 직박구리, 까마귀, 갈까마귀, 떼까마귀 등이 유해조류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투명한숲제비211입니다.

    비둘기는 대개 유해조류의 원인이 되지는 않습니다. 유해조류는 주로 물고기, 바닷물, 해조류 등에서 발생하는 독소를 먹이로 섭취한 후 인간이나 동물에게 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하지만, 비둘기가 가끔 도시나 마을에서 많은 수로 발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비둘기가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다른 새와 함께 사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비둘기가 다른 새들과 함께 떼를 이루어 살다보니, 비둘기와 함께 살면서 분비물이나 배설물 등이 공기 중에 퍼질 가능성이 있어 건강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둘기가 유해조류가 된 것은 아니지만, 비둘기가 사는 환경이나 생태계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비둘기와 함께 생활하거나 관련된 환경에서 일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방호대책을 강구하여 건강을 지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Piyr4634673232입니다.

    질문자님 비둘기는 유해 조류로 되어 있습니다 원인은 모이를 주는 사람들 때문 이지요 모이를 주다보니 비둘기

    입장에서는 힘들게 먹이 구하려고 애쓰지를 않고 사람겯으로 오는 것 입니다

    스스로 벌래도 잡아먹고 해야 되는데 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