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인빈시블진짜임모탈
인빈시블진짜임모탈

코인은 전부다 사기라고 누가 그랬는데

코인은 전부다 사기라고 누가 그랬는데 진짜 사기인가요? 제가 봤을떄도 폰기사기 같은느낌인데 제가 사면 내려가는거보니 사기맞는거같아요ㅛ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주식이던 코인이던 이런 명언이 있습니다. 내 뒤에 누가 CCTV 달아놨나? 팔면 올라가고 사면 내려가고..아마 주식,코인 투자자라면 모두 공감하는 내용일 것 같습니다.

    그것은 아마도 개인투자자들의 심리가 모여있는 곳이 유동성이 풍부하기에 내가 팔고 싶을 때 모두가 팔고 싶어하는 가격대이고 반대로 매수 할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그럴 때 시장은 그 유동성을 이용 하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가격의 흐름을 어느정도 읽을 수 있는 기술적분석의 공부가 조금 필요 합니다.^^

    물론 코인 중에는 폰지사기같은 스캠코인이 다 수 있다는 것도 코인 투자 시 유념해야 할 사항이기도 합니다. ㅠㅠ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과 같은 경우 전적으로 사기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어느정도 현재 투자자산으로써 인정받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조희팔이 하던 방식이 그러하겠죠, 지금슈퍼워크, 스테픈,퍼플레이도 비슷한 방식일수 있습니다만, 사업이 확장되나 안되나의 차이입니다. 실제 게임하면서 돈버는 퍼플레이를 보면 게임제조사,유통사가 런칭하는 것입니다. 공급이 있다는 거죠, 아하도 마찬가지고요, 그래서 유틸리티코인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든 코인이 사기는 아닙니다. 일부 프로젝트는 실제 기술 혁신과 가치를 제공하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코인들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부 코인은 실제로 사기나 폰지 스킴일 수 있으며, 규제가 부족한 시장이기 때문에 사기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또한, 코인 가격은 매우 불안정하며, 이는 사기가 아닌 시장 특성입니다. 개인의 매수나 매도가 전체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투자 시 철저한 조사와 이해가 필요하며, 잃어도 괜찮은 금액만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점차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시장이 안정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모든 코인이 사기는 아니지만 높은 위험이 있는 투자입니다. 신중한 접근과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 투자 결정 전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은 각각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시용되는 재화라고 보시면 됩니다.

    프로젝트가 성행하게 되면 해당 코인의 수요가 올라 가격이 상승하나, 프로젝트가 망하는 경우에는 그 가치가 0에 수렴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부 사기 코인이 있을 수도 있으나 모든 코인이 사기는 아닙니다

    비트코인 ETF 가 출시되었다는 것은 제도권 내 인정받았음을 의미하며, 제도권 인정이라 함은 법 테두리 내에서 거래가 가능함을 의미합니다

    코인의 변동성으로 인하여 투기성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천천히 제도권으로 스며들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기백 경제전문가입니다.

    암호화폐(코인)가 모두 사기라는 의견은 과장된 것입니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 시스템의 혁신을 목표로 합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주요 암호화폐는 투명성, 보안성, 탈중앙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폰지 사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초기 투자자들에게 큰 수익을 약속하며 자금을 모은 후 사라지는 사기 행위가 암호화폐 시장에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입히며 암호화폐 전체의 신뢰성을 떨어뜨립니다.

    암호화폐 시장은 변동성이 매우 큽니다. 이는 큰 수익을 안겨줄 수 있지만, 동시에 큰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변동성은 투기적인 성격을 띠게 만들며, 많은 투자자들이 단기 이익을 추구하게 만듭니다.

    각국 정부는 암호화폐 시장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 보호와 시장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규제가 강화되면 사기적 요소는 줄어들고, 보다 안정적인 투자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암호화폐는 모두 사기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암호화폐는 기술적 혁신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 사기 사례와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암호화폐에 투자할 때는 철저한 조사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암호화폐의 본질을 이해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며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가상화폐에 대한 주장이나 의견은 매우 다양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가상화폐 전체가 사기라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이는 매우 극단적이며 일반적으로는 부정적인 시각을 반영한 것입니다.

    또한, 모든 가상화폐가 사기라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투자 시에는 신중하고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며, 높은 리스크와 함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부 코인이 사기였던것도 있고 사기도 많지만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등 메이져코인은 사기가 아닙니다 !!

  • 질문자님이 매수했을 때 내려간다고 다 사기는 아닙니다. 그렇게 치면 주식도 사기일 수 있으니까요. 일부 코인에서 러그풀등을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국내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메이저 코인은 어느정도 미래의 활용 가능성 등에 인정을 받은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코인중에 스캠코인으로 사기를 위해 만들어지고 유통되는 코인이 있습니다

    • 하지만 모든 코인이 사기라고 말할수는 없습니다.

    • 비트코인은 이미 모든 자산을 통틀어도 시가총액 10위에는 시세가 빠져도 안전하게 안착할 만큼

      시세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고 현물 ETF도 출시된 만큼 전과 위상이 달라졌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화폐를 누군가는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지만, 공인된 투자시스템과 제도권에서도 가상화폐를 점차 자산으로 인정해주고 있는 분위기에요.

    미국의 가상화폐 현물 ETF 상품도 그렇고, 엘살바도르의 법적화폐 승인도 그렇고 이제는 과거의 금이나 국가 통화처럼 점점 인정해주는 분위기라서 완전한 사기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여전히 풀어야할 장애물들은 많은 것 같습니다.

  • 보통 내가 사면 내려간다는 말은 아마도 되게 많이 주문을 지금 가격보다 아래 했을 때 얘기인 것 같습니다 낮은 가격대에 지정가 매수를 하면 가격이 내려가는 타이밍에 사시게 되는 것이니까. 당연히 사고 나서도 내려갈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일부 코인들은 폰지 사기성 느낌도 있는 게 있긴 합니다만 대부분 투자 자산들이 그렇게 신뢰를 얻으면 정식 자산이고 신뢰를 잃으면 폰지사기가 되는 게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은 전부다 사기라고 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비트코인이 처음 세상에 나온 것이 아마 2009년 정도 일 것이고 이제 약 15-16년이 지나고 있는데

    아직도 있고 더 많은 사람들이 투자에 참여하는 것을 보면 사기는 아닌 것 같스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처럼 생각하면 모든게 다 사기입니다. 사기란 것은 누군가를 기망하여 착오에 빠지게 하여 이득을 취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은 다 사기라는 것은 극단적인 언사입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와 이더리움이 얼마전 현물ETF 승인을 받았습니다. 미국 금융당국이 승인한 것인 바, 사기 자산에 대한 금융투자자산 또는 가치저장 수단으로 승인했을리 없습니다.

    물론 코인의 실체성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논란이 되었습니다. 과거 온라인, 모바일 환경 구축 전에도 특정 자산에 엄청난 거품일 껴 금융위기로 발전된 사례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인 네덜란드 튤립 버블 붕괴인데 양질의 튤립 구근 하나가 당시 괜찮은 주택 가격 하나와 맞먹었습니다.

    비트코인은 시대와 기술이 나은 맹아로 금처럼 물리적인 실체는 없으나 가상 세계의 실재성을 인정하여 훌륭한 가치저장 수단으로 안착한 사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