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12.06

이괄은 왜 반역자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인조때 이괄은 공신이고 인조의 신임을 받았다고 알고있는데요 왜 난을 통해 반역을 했는지 그 배경을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괄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인 광해군 때부터 인조 때까지 무신으로 활동했으며 그는 서인 세력이 1623년에 광해군을 임금의 자리에서 쫓아내고 인조를 새로운 임금으로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하지만 인조반정 후 권력을 잡은 사람들과 사이가 나빠 공을 세우고도 좋은 대접을 받지 못했고 그러던 중 이괄은 후금이 북쪽의 국경을 위협해 국방 문제가 심각해지자 평안북도 병마절도사로 가게 되었습니다. 1624년에 문회와 허통 등이 이괄과 그의 아들이 역모를 꾸몄다고 고발했다. 이에 이괄과 관련된 사람들이 잡혀가 고문을 당하며 조사를 받았지만 역모의 증거는 나오지 않았고 나중에는 이괄의 아들까지 한양으로 불러들여 조사하려고 하자 이괄은 반란을 일으키게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괄을 인조반정을 성공시키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으나, 김유보다 낮은 2등공신에 책록되자 불만을 가졌습니다. 곧이어 외직인 평안도 지방에 오랑캐의 침입이 염려된다는 이유로 평안 병사 겸 부원수로 전출되으며, 이후에도 평소 반정에 공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직위가 낮아 속으로 원망을 품었다고 전해집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이괄을 폄하하려는 왜곡이라는 추측도 있습니다.

    내부 주도권 싸움에서 밀린 이괄은 서인들이 자신을 역모로 몰아가자 즉위 10개월만에 1624년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이괄은 인조 반정에서 세운 공이 있음에도 1등 공신이 아닌 2등 공신에 책봉된 것에 불만을 가졌고, 조정에서 이괄이 난을 꾀한다고 하여 아들을 잡아들이려고 금부도사를 보내자, 금부도사를 죽이고 난을 일으키게 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조반정을 성공시키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나 2등 공신에 책록되어 불만을 가졌고 후금과의 전투를 위해 평안도병마절도사로 부임하나 서인 공신들의 비판을 받게 됩니다. 논공행상에서 2등공신으로 밀려난 것, 아들 전이 공신들의 횡포로 인한 시정의 문란을 개탄해 반역의 무고를 받자 공신들에 대한 적개심이 폭발해 난을 일으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괄이 2등 공신이 된 것에 불만을 품었으며, 반정 당일에 김류와 다툰 일로 불화가 일어나 견제를 받았고 이로 인해 김류보다 낮은 자리를 받게 되자 큰 분노를 품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단순히 설일 뿐, 명확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