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행동이
행동이23.02.24

술만 먹으면 단 게 당기는 이유가 뭔가요?

이상하게 소주 같은거 먹으면 아이스크림 같은 달달한 게 당기는 데 과학적인 이유가 있을까요?


술 한 잔 먹고 오니까 달달한 카페라떼가 유독 당기더라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술을 마시면서 단 것을 먹게 되면, 술에 함께 들어있는 알코올이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하고 간에서 포도당의 생성을 촉진시켜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합니다. 그리고 간에서 생성된 포도당은 혈액 중의 인슐린 부족으로 인해 조절되지 못하고 산출되기 때문에, 혈당 농도가 높은 상태로 지속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인슐린 분비량이 적어서 혈당 조절 기능이 약해지며, 이에 따라 혈당 농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단맛이 강조됩니다. 즉, 술을 마시면서 단 것을 먹으면 혈당이 급격히 오르고 조절 기능이 약해져서 단맛을 더욱 강조시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이유 중 하나는 술의 성분이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술을 마시면 혈당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며 이에 따라 단식욕이 높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술을 마시고 나서 달콤한 것이 먹고 싶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 알코올 섭취 후 혈당이 급격하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간에서 급속한 당분 해제를 유발하고, 혈액 속의 당분 수치를 떨어뜨리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이나 음료를 찾게 되며, 단맛이 강한 과자나 디저트 등이 먹고 싶어질 수 있습니다.


    둘째, 술을 마시면 신경계가 억제되고 뇌의 기능이 저하됩니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쾌락을 주는 것에 대한 욕구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달콤한 음식이 더욱 매력적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셋째, 술을 마시면 몸의 대사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음식의 맛이 조금 둔화되고, 당분이 많은 음식이 더욱 맛있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달콤한 음식이나 디저트는 성분 중 일부가 당분이기 때문에, 당분 대사를 도와주는 인슐린의 분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코올을 마신 후 달콤한 음식을 먹는 것은 당분 대사를 돕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술을 마신 후 달콤한 음식을 많이 먹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과도한 당분 섭취는 비만, 당뇨병, 심장병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적당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술을 마시면 알코올이 간에서 대사되면서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물질로 분해됩니다. 이 과정에서 단맛을 내는 감각을 주는 설탕과 비슷한 화합물이 생성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화합물이 혈액을 통해 몸 전체에 분포되면서 단맛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단 게가 당기는 것은 술을 마셨을 때 생성되는 이러한 화합물 때문입니다. 또한, 술을 마시면 간에서 당분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억제되어 혈당 수준이 낮아져 단맛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술 알코올이 몸에 들어와서 분해되기 위해서는

    물과 산소 그리고 당분들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숙취에 꿀물을 먹는 것도 같은 이치이죠


  • 안녕하세요. 불꽃 과학전문가입니다.

    술을 마실 때 체내에 인슐린이 분비가 되는데 인슐린은 몸의 혈당 수치를 낮추게 됩니다. 낮아진 혈당 수치를 높이기 위해 설탕이 들어 있는 음식을 원하게 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