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바르면 비타민 d 생성안되나요?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바르면 비타민 d 생성안되나요?
얼굴과 목만 바르고 손에는 안바른다면손에 자외선 들어와 비타민 d 생성되나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피부에서 비타민 D를 합성하려면 자외선 노출이 필요합니다.
이야기하신것과 같이 자외선을 차단하는 선크림을 바르면 피부에서 비타민 D를 합성하는데 방해를 받는게 맞습니다.
피부는 얼굴피부 뿐만 아니라 신체 어디서든 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의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비타민 D를 합성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비타민 D 생성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신가 보군요.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비타민 D 합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자분이 얼굴과 목에만 바르고, 손에는 바르지 않는다면 손에 닿은 자외선을 통해 어느 정도 비타민 D 생성이 가능할 것입니다. 실제로, 비타민 D는 햇빛에 노출된 피부에서 합성되기 때문에 피부의 어떤 부분이든 노출되면 비타민 D를 만들 수 있습니다.
햇볕을 적절하게 쬐는 것이 중요하지만, 과도한 자외선 노출은 피부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니 무작정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보다는 다양한 방법으로 균형 있게 비타민 D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상생활에서의 태양 노출을 통해 충분하지 않다면, 식품이나 보충제를 활용하는 방법도 고려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더라도 완벽하게 자외선을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타민d생성에 크게 방해되지는 않는것으로 연구결과가 나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자외선 차단제는 UVB를 막아 비타민D 합성을 줄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크림을 완벽히 바르지 않거나 모든 부위에 고르게 사용하지는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비타민 D 결핍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더라도 적절한 햇빛 노출로 비타민 D 를 충분히 생성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경우 해당 부위에서는 비타민 D 합성이 거의 억제됩니다. 그러나 차단제를 바르지 않은 부위가 햇볕에 노출되면 비타민 D 합성이 가능합니다.
팔 다리 등 피부 20% 정도 노출 시 하루 10분 정도 일광욕을 하면 비타민 D 600~800IU 정도를 생성 가능합니다(개인차는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자외선 차단제, 즉 선크림은 UVB 자외선을 차단해 피부에 도달하는 양을 줄이기 때문에 비타민 D의 합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피부에서 비타민 D가 만들어지려면 UVB 자외선이 피부에 닿아야 하는데, SPF 지수가 높은 선크림을 충분한 양으로 꼼꼼히 바르면 이 과정이 거의 억제돼요. 특히 얼굴, 목, 팔 등 주요 노출 부위에 선크림을 바르면 자외선이 피부에 도달하지 못해 비타민 D 생성이 떨어질 수 있죠. 하지만 실제로는 선크림을 발라도 완벽하게 자외선을 차단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약간의 합성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질문처럼 손에는 바르지 않고 얼굴과 목에만 선크림을 바른다면, 손을 통해 일정량의 자외선이 피부에 닿게 되며 비타민 D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피부 노출 면적과 노출 시간에 따라 비타민 D 합성량이 달라지며, 하루에 10~30분 정도만 팔이나 손등에 햇볕이 닿아도 건강한 사람에게는 충분한 양의 비타민 D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개인의 피부색, 지역의 일조량, 계절, 시간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렵구요
결론적으로, 선크림을 바르면 비타민 D 합성이 일부 억제될 수 있지만, 모든 부위에 완벽하게 바르지 않는 이상 어느 정도 합성은 가능합니다. 만약 자외선 노출이 거의 없거나 실내 생활이 많다면, 비타민 D 결핍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피검사를 통해 수치를 확인하고 필요시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이나 햇볕이 약한 지역에서는 식이요법과 보충제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어요. 일상생활에서는 피부 보호와 비타민 D 생성 사이의 균형을 고려한 적절한 자외선 노출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