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가 몸에 들어와서 하는 일이 뭔가요?
항생제 주사를 맞은 이후 우리몸에서 어떤 작용을 해서 병을 치료하는 건가요?
예방주사와 다른 점이 뭔가요?
아시는 분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항생제(antibiotic)란 세균을 죽이거나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약을 말하는데요, 원래 항생제는 원래 진균(곰팡이)과 같은 미생물이 생존 경쟁의 관계에 있는 세균을 억제하기 위해 만드는 물질로 자연에서 우연히 발견되었습니다. 최근에는 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항생제들을 개발, 합성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 발견된 항생제인 페니실린이 1940년대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세균에 의한 질병(감염질환)과 그로 인한 사망이 급격히 줄어 들었는데요, 항생제의 등장은 이후 인류의 삶을 바꾸어놓은 혁명적인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항생제는 그 작용 기전과 항균범위에 따라 분류하고 있습니다. 작용하는 부위에 따라서 세포벽, 세포막, 리보좀, 핵산에 작용하는 항생제로 나눌 수 있고 항생제가 효과를 나타내는 세균의 범위에 따라서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모노박탐, 카바페넴,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퀴놀론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되어 집니다. 예를 들어서 일부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을 만드는 과정을 방해하는데요, 세균은 세포벽이 손상되면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없기 때문에 죽게 됩니다.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는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세균이 파괴되게 합니다. 이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펩티도글리칸이라는 물질의 형성을 막아 세포벽을 약하게 만들어 결국 세균을 죽이게 됩니다. 또는 항생제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 과정을 방해해 세균의 성장을 막는데요, 세균은 단백질을 합성하지 못하면 생명 활동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테트라사이클린과 에리트로마이신 같은 항생제는 세균의 리보솜에 결합해 단백질 합성을 억제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항생제 주사는 세균의 성장과 번식을 억제하여 감염을 치료합니다.
예방주사는 질병에 대한 면역을 생성하여 감염을 막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항생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 몸에 침투한 세균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여 감염 질환을 치료하게 됩니다.
일부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을 직접 공격하여 세균이 터져 죽도록 만듭니다. 또 세균이 성장하고 번식하는 데 필요한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세균의 증식을 막거나 세균의 유전물질인 핵산의 합성을 방해하여 세균이 복제되지 못하도록 합니다.
하지만 항생제는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감기나 독감 등은 대부분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이므로 항생제를 복용해도 효과가 없는 것이죠.
항생제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몸속에 들어가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거나 단백질, DNA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을 죽이거나 증식을 억제합니다. 이는 면역 체계가 감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예방주사는 병원체의 일부나 약화된 형태를 사용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고, 항생제는 이미 발생한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