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3천만원 정도가 있으면 보통 어떤 투자를 하는게 좋을까요?
요즘 같은 시대에 현금 3천만원 정도로 투자를 한다면 어떤 투자를 하는게 안정적이면서 은행에 맡겨서 물가상승률도 못따라가는 이자를 받는거보다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수형 etf에 적립식으로 기간분산투자 하시거나
롱숏펀드랑 emp펀드에 분산해서 투자해 보세요.
투자경험이 적은 분들은 소액으로 투자경험을 쌓아보고 나한테 맞는 투자방법을 찾는게 중요합니다.
자산관리에 관심갖게 되신 만큼 성공자산관리 하시길 응원할게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투자로 접근하면 100% 안정적이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리스크를 안고 가기는 해야 하는데요.
최대한 안정성을 보유하면서, 물가상승률을 어느정도 보장한다면
배당주ETF, 금, 채권 등을 추천드립니다.
무조건 안전하진 않지만 이것만 감수할 수 있다면 예금보다는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3천만원이 있다고하면 2천만원은 나스닥이나 에스앤피500에 투자하고 1천은 안전한 예금에 넣어놓고 주가하락기에 추가투자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3천만원이 있다면
ETF 등을 통하여 절세계좌에서
자산배분 투자를 할 것 같습니다.
리스크를 줄이고 수익을 올릴 수 있기에 이에 따른
자산 배분 투자를 고려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 3천만 원으로 은행외에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시면, ETF나 우량채권형 펀드 같은 상품이 괜찮아요. 물가 상승률을 이길 수 있는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은행 예금보다 조금 더 높은 수익률을 노릴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라면 3년 예금 들었다고 삼성전자 주식 5만원대에서 전부 사겠습니다
주식은 원래 공포에 사서 환희에 파는게 수익률이 좋습니다 삼성전자 위기에 사서 삼성전자 사상최대실적 뉴스 나옴 팔면 수익이 꽤 나는거죠 지금 5만전자지만 다시 8만전자 언제고 10만전자 갈겁니다
사두고 하루하루 주가에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배당받으면서 주가 오르면 팔면 됩니다
배당도 2프로 전후로 잘나올땐 3프로대 나오니 은행이자 보단 조금 못해서 물가상승률은 따라갑니다
한번 생각해보셔도 될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기준에서 미국 ETF에 투자하시는걸 권해드립니다.
미국은 대선을 앞두고 있어 어수선한 분위기인데 아무래도 대선이 끝나고 대통령이 누가 되던 초반에
인프라 투자나 경제 성장에 힘을쓰는 정책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미국은 경기침체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에 경제가 우선이 될 겁니다.
미국 기업들은 세금감면, 금리인하 등으로 투자가 확대될것으로 보이고 유동성이 공급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현금 3,000만원이 있다면 어떤 투자를 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요즘 주식 시장이 별로 좋지 못하기에
저라면 은행 예금 이자보다는 좀 더 나은 채권 등에 투자를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한다 하더라도 투자에 있어서 안전자산에 일정비중을 투자하는 것은 필수 입니다. 모든 자산을 예금에 넣는 것은 수익율 측면에서 좋은 선택은 아니겠지만, 20~30%는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ETF, 미국주식, 한국주식, 펀드 등 나눠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최근 유행하는 ETF 상품도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돈의 액수와 상관없이 투자 성향에 따라 투자를 진행하여야 합니다.
원금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지 여부가 가장 중요합니다.
주식이나 코인 등은 높은 수익을 볼 수도 있지만, 반대로 높은 손실을 볼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모은 자금을 전부 날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금은 이자 수익이 물가 상승률에 비해 현저히 적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금 손실이 나지 않으며, 예금자보호를 해준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투자는 자신의 투자 성향에 따라 진행해야 합니다.
원금 손실이 두려운 사람이 주식 및 코인을 하게 되면, 하루하루가 괴로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투자의 시작을 부동산이고 자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3천만 원 정도 있을 때요 30대 중반에 빌라를 샀고요 초반에는 살면서 빚을 갚아 가다가 나중에는 보증금과 월세를 받고 나왔습니다 매달 50만 원씩 들어오고 있지요 이거 다음에 투자를 새로운 거를 하는 것입니다 결국은 임대 소득과 같은 현금 파이프라인이 있어야 된다는 얘기고요 3천만 원 정도면 일산 같은 곳 경기도 쪽에 월세 보통 40에서 50만 원 받을 수 있게끔 전세 끼고 갭 투자부터 하실 거를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