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가입시 수익에 대해서 세금은 어떻게 내나요?
주식은 대주주가 아니면 거래세만 납부한다고 기억하는데요. 펀드에 투자해서 수익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과세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펀드 투자 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한 과세는 주식 투자와는 다소 다르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식은 일반적으로 대주주가 아닌 이상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이 없고 , 단지 거래세 (0.23%) 만 납부하면 되지만 , 펀드는 수익의 성격에 따라 이자소득세 또는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펀드수익에 대한 과세 방식}
펀드 수익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운용 수익 (이자 ㆍ배당 등)
펀드가 보유한 자산에서 발생하는 이자나 배당 수익은 ' 배당소득세 ' 로 분류됩니다.
이때 세율은 15.4% (소득세 14%+ 지방세 1.4%) 로 원천징수됩니다.
투자자가 직접 신고하지 않아도 , 수익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차감됩니다.
(2) 펀드 환매 시 차익
투자자가 펀드를 환매하면서 얻는 차익 (즉 , 싸게 사서 비싸게 판 차익) 은 일반적으로 과세 대상이 아니거나 , 과세되더라도 역시 배당소득세 15.4%가 적용됩니다.
단 , 펀드의 자산 구성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달라집니다.
ㆍ 국내 주식형 펀드 : 환매 차익은 비과세 (주식 매매차익은 세금이 없음)
ㆍ 혼합형 ㆍ 채권형 ㆍ 해외 주식형 펀드 : 환매 차익에도 15.4% 세금이 부과됨.
{간접 투자와 세금 혜택}
한편 , 펀드는 간접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직접 투자에 비해 세금 신고 부담이 적고 자동 원천징수 방식이 적용됩니다.
또한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를 통해 펀드에 투자하면 일정 금액까지는 비과세 또는 저율 분리과세 혜택도 가능합니다.
{정리하면}
ㆍ 주식은 대주주 아니면 매매차익 비과세 , 거래세만 있음.
ㆍ 펀드는 수익 발생 시 15.4% 세금 원천징수(배당소득세)
ㆍ 국내 주식형 펀드는 환매 차익 비과세 , 그 외는 과세됨.
ㆍ ISA를 활용하면 추가 절세 가능.
즉 , 펀드 투자는 수익이 나면 기본적으로 세금이 붙지만 , 세율은 비교적 낮고 자동으로 정산되기 때문에 세무 처리에 대한 부담은 적은 편입니다.
다만 펀드의 성격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다르므로 상품 구조를 잘 확인하고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펀드를 국내로 분류했을때 주식의 매매차익에 대해서만 비과세이고, 배당소득은 과세 / 채권의 매매차익 과세, 이자소득 과세 대상입니다. 현행 소득세법상 펀드 안에서 발생한 국내 주식 매매차익과 국내 주식선물 관련 매매차익에 대해서 비과세를 적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펀드 수익의 세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펀드에 대한 세금은 분배금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퍼센트가 있고
매매 차익에 의한 양도소득에 대한 세금이 있는데
주식형 펀드나 채권형 펀드 모두 원금 초과분에 대해서 15.4퍼센트가
각기 원천징수로 부과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펀드는 운용사가 관리하는 것응로 일정한 운용수수료가 추가적으로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만약 과세가 된다면 ㅇ;는 매매에 고려의 대상이라고 생각하며, 먼저 채권형 펀드의 경우 수익에 대한 15.4%의 과세가 발생합니다. 또한 해외주식형펀드도 마찬가지로 15.4% 과세가 발생합니다. 다만 국내형 주식펀드는 이자수익에 대한 과세만 진행이 되며, 이는 큰 금액이 아닙니다. 따라서 어떠한 펀드를 가입할지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결정을 하시면 좋겠습니다.